다 바꾸고 논문제목만 유지 2

계(契)

옛 사람들은 무슨 모임을 갖고 나면 그것을 그림과 글로 남겼다. 책 형태로 남기면 계첩(契帖)이라 했고 병풍이면 계병(契屛)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지금은 ‘계’라고 하면 주부들이 목돈을 마련하는 방법으로 조직되는 계모임부터 연상이 되는 까닭에, 선비들의 모임을 기록한 것에 왜 ‘계(契)’자가 들어가는 것인지 의아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계(契)’자가 ‘(연분이나 인연을) 맺는다’는 뜻을 갖는 한자임을 감안하면 ‘계(契)’는 지금의 동호회와 같이 모임을 뜻하는 ‘회(會)’의 뜻도 함께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대대로 우리나라에 계는 그야말로 셀 수 없을 만큼 많고 다양했다고 한다. 주부들이 돈을 목적으로 하는 계는 수많은 형태의 계 가운데 하나에 불과한 것이다. 계는 우리나라에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상부상..

우리 옛 뿌리 2021.12.20

목민심서 97 - 피란민을 보살펴 구원하는 일은 의로운 사람의 처사다.

● 율기(律己) 제6조 낙시(樂施) 6 전쟁 때 피란하여 떠돌아다니며 임시로 붙어사는 사람을 불쌍히 여겨 보호해 주는 것은 의로운 사람의 할 일이다. (干戈搶攘 流離寄寓 撫而存之 斯義人之行也) ▶율기(律己) : 『목민심서(牧民心書)』 제2편인 율기(律己)는 자신을 가다듬는 일을 말한다. 수령이 자신의 몸가짐을 가다듬는 일부터 은혜를 베푸는 일까지 6조로 나누어 논하고 있다. 율기(律己)의 제6조인 ‘낙시(樂施)’는 은혜 베풀기를 즐기는 일이다. 강수곤(姜秀崑)이 고창 현감(高敞縣監)으로 있을 때 바야흐로 전쟁 중에 국내에 크게 흉년이 들어서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을 정도였다. 공은 계획을 잘 세우고 마련을 잘하였는데, 호남ㆍ호서 지방의 유랑민이 1천여 명이 되는 데다 북방의 친척과 친구로서 기한(飢寒) 때..

목민심서 2021.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