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

목민심서 139 – 나라에 올리는 장계는 격식을 갖추어야 한다.

從心所欲 2022. 6. 18. 10:36

[일재(一齋) 김윤보(金允輔) <풍속도 10폭 병풍> 中 4폭, 병풍 크기 201 x 564cm, 국립민속박물관]

 

●봉공(奉公) 제4조 문보(文報) 14
만약 변문(邊門)의 열쇠를 맡아 곧장 장계(狀啓)를 보낼 때는, 더욱 격식과 관례를 분명히 익혀 두려운 태도로 조심하도록 해야 한다.
(若邊門掌鑰 直達狀啓者 尤宜明習格例 兢然致愼)
봉공(奉公) : 목민심서(牧民心書) 3편인 봉공(奉公)은 충성으로 임금을 섬기고 공경으로 윗사람을 섬기는 등, 공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6조로 나누어 논하였다. 봉공(奉公)의 제4조인 문보(文報) 공문서를 말한다.
변문(邊門) : 국경에서 외국과의 출입을 통제하던 관문. 조선시대에는 중국으로의 출입을 담당했던 의주와 왜()로의 출입처인 동래가 대표적 변문이었다.
장계(狀啓) : 왕명을 받아 지방에 나가 있는 신하가 자기 관하의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는 문서.
장계의 첫머리에는 체면 인사말이 금지되어 있으므로 - 이를테면 “신(臣)은 재성(才性)이 졸렬하여 부임한 이래로 밤낮으로 공경하고 두려워합니다.”와 같이 상소문(上疏文)의 투식(套式)처럼 하는 것. - 곧장 본건을 서술하여 자세히 논해야 한다. 대저 장계의 문체는 항상 육선공(陸宣公)의 주의(奏議)를 읽어서 그 간절함을 본받고, 겸하여 왕양명(王陽明)의 소의(疏議)를 가져다가 명료함을 본받되, - 두 분의 글은 모두 쌍대(雙對)로 되어서 변려문(騈儷文)과 같다. - 절실하고 충실한 마음을 근본으로 한다면 감동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투식(套式) : 굳어진 틀로 된 법식.
육선공(陸宣公) : 당나라 가흥(嘉興) 사람으로 이름은 지(), 자는 경여(敬輿), 선공은 그의 시호이다. 진사 출신으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중서시랑(中書侍郞)ㆍ동평장사(同平章事) 등을 지냈다. 저서에는 육선공한원집(陸宣公翰苑集)이 있다. 특히 그는 한림학사로 있을 때 주자(朱泚)의 반란으로 인하여 하루에 조서(詔書) 수백 편을 지어내는 등 훌륭한 저술 솜씨를 보이고 국가 기무에 민첩하게 응함으로써 당시 덕종(德宗)에게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며, 그의 주의(奏議)는 더욱 명작이어서 후세에 주의의 규범이 되었다.
주의(奏議) :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
왕양명(王陽明) : 명나라 여요(餘姚) 사람으로 이름은 수인(守仁), 자는 백안(伯安), 양명은 그의 호이고,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진사 출신으로 여릉지현(廬陵知縣)ㆍ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 등을 거쳐 남경 병부 상서(南京兵部尙書)에 이르고 신건백(新建伯)에 봉해졌다.
소의(疏議) : 네 글자 또는 여섯 글자로 대구(對句)를 이루는 문체의 하나이다.
변려문(騈儷文) : 4언구와 6언구를 기본으로 하여 대구(對句)만으로 문장을 구성한 중국 고대의 한문 문체. 수사(修辭)가 화려(華麗)한 문장(文章).

 

번역문 출처 : 한국고전번역원(이정섭 역, 1986), 다산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