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옛 건축물

우리 옛 건축물 26 - 천장

從心所欲 2018. 8. 11. 09:29

천장은 반자라고도 하며 시각적 안정과 열, 빛, 소리를 흡수, 차단해주는 실용적 역할과 함께 지붕틀을 이루는

여러 부재들의 어지럽게 얽혀있는 모양을 가려주는 의장적인 역할도 합니다. 천장(天障)의 우리말 표기는 반자

이고 한자에서 뜻 없이 음만 차음하여 '斑子'로 씁니다. 궁궐이나 사찰의 천장은 우물천장과 연등천장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우물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이라 하여 붙인 이름이고 연등천장은 천장을 만들지 않아

서까래가 그대로 노출되어 보이는 천장을 말합니다. 연등(椽燈)은 서까래 연(椽)자와 등잔 등(燈)자를 쓰는데

서까래가 드러난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우물천장은 살림집에서는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궁궐이나 사찰 등에서 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우물천장은

우물마루처럼 장귀틀(천장이나 마루를 만들기 위해 가로 세로로 짜놓은 틀 중에 긴 부재)과 동귀틀(짧은 목재)

격자로 짜고 그 가운데 반자청판을 끼운 것입니다. 반자청판은 귀틀 사방에 돌린 쫄대목에 위에서 걸쳐 올려

것이기 때문에 위로 밀면 열리게 되어있습니다. 우물천장이 궁궐이나 사찰건축에서 선호된 것은 장엄효과

때문입니다. 반자청판과 귀틀에 각종 문양의 단청을 화려하게 베풀어 장식효과를 극대화 하였습니다. 반자청판

그려진 단청을 반자초라 하고 귀틀에 그려진 것을 특별히 종다라니초라고 합니다. 반자초에 그려지는 문양은

연화가 가장 많으며 궁궐에서는 용과 봉황, 길상문이 그려지기도 하고 사찰에서는 만다라가 그려지기도 합니다.

종다라니초는 귀틀이 만나는 교차지점에 연화나 주화를 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천장, 사진 문화유산뉴스]



[미황사 대웅전 천장. 사진 문화유산뉴스]



[선운사 대웅전 전장, 사진 문화유산뉴스]



[덕수궁 중화전의 감입(嵌入)천장과 우물천장]


연등천장은 가구부재들이 아름다워 천장을 가리지 않아도 충분한 고려시대 주삼포건물에서 많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현존하는 고려시대 건물인 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조사당 등은 모두 맞배지붕으로

연등천장이고 팔작지붕인 부석사 무량수전도 연등천장으로 되어있습니다. 



[부석사 무량수전 천장, 문화재청]



[청양 장곡사 상대웅전, 문화재청]



[순천 낙안읍성 내아(內衙) 대청 천장]


살림집에서도 방은 대부분 종이로 마감하는 종이반자를 하는 반면 대청마루 천장은 연등천장으로 합니다.

가구식구조 건물의 각종 부재가 얽히고설킨 모습들이 그대로 드러나 한없이 어지러워 보이지만 각 부재의

기능들을 이해하면 오히려 그 오묘한 구조를 실컷 감상하고 공부할 수 있는 좋은 배움터가 됩니다. 사실 사찰

구경을 하다보면 어느 때는 건물 외부의 화려한 단청에 치어 질리는 경우도 있는데 그러다 이런 건물 내부를

보면 일순 개운함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대개 우물천장이 설치되는 위치는 대들보 높이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건물에 따라 천장을 높여 내부공간을

시원하게 만들고자 할 때는 대들보 위의 종보에 천장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건물의 크기가 커지면서

대들보 위에 작은 윗보를 더 걸게 되는데 이를 종보(宗樑)라고 합니다. 건물이 더 커지게 되면 보가 3개가

걸리기도 합니다.




그림에서 보듯 대들보 높이에 천장을 설치하면 윗부분이 다 가려지지만 종보 위치에 천장을 설치하면 대들보부터

종보까지의 공간이 비게 되니까 천장의 서까래가 드러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그 드러난 서까래를 가려주는

다른 장치가 필요합니다. 그것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빗천장입니다. 아마도 비스듬한 천장이라고 해서 빗천장

이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강화 정수사 법당 빗천장]



[범어사 대웅전 빗천장과 우물천장]


[미황사(美黃寺) 대웅보전 빗천장과 우물천장]


각기 다른 방식의 빗천장이 우물천장으로 이어지고 아래에 굵은 대들보가 드러난 모습들이 보입니다.



이 글은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2007.동녘), 한국고전용어사전(200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 전통

건축장식의 비밀(허균, 2013, 대원사), 문화원형백과(2002.한국콘텐츠진흥원) 등을 참조, 인용하여 작성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