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선조들

연암 박지원 18 - 우상전 1

從心所欲 2019. 11. 29. 15:41

 

<우상전(虞裳傳)>은 영조 때의 역관(歷官)이었던 우상(虞裳) 이상조(李湘藻, 1740 ~ 1766)1가 죽자 박지원이

그가 남긴 시와 행적을 모아 엮은 열전(列傳) 형식의 한문소설이다. 하지만 「방경각외전(放璚閣外傳)」에

있던 끝부분이 <역학대도전>, <봉산학자전>과 같이 떨어져 나가, 전해지는 글은 완결본이 아니다. 박지원이

<우상전>을 쓴 것은 이상조가 죽은 1766년(영조 42) 이후로, 박지원이 서른이 넘은 때이다.

 

우상(虞裳)은 이상조의 자(字)이고, 호는 송목관(松穆館)이다. 대대로 역관을 지낸 집안에서 태어나, 20세

때인 1759년(영조 35) 역과(譯科)에 합격하여, 뒤에 종6품인 사역원(司譯院)2 주부(主簿)3에 까지 올랐다.

그의 아버지 이덕방(李德芳) 역시 역관으로서 정5품의 상계(上階)인 통덕랑(通德郎)까지 올랐던 인물인데

‘문장 하는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 기도하여 이상조을 얻었다고 한다. 이상조는 어릴 때부터 글을 유난히

좋아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책을 살 수가 없어, 누가 희귀한 책을 갖고 있다는 소리만 들어도 그 집을 반드시

찾아가 책상머리에서 다 읽어 버렸다고 한다. 그에 대한 기록은 이덕무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에도 나온다.

그의 동생 언로가 이덕무(李德懋)에게 전한 바에 의하면 "글을 좋아해 침식을 잊었으며, 다른 사람에게 책을 빌려

올 때마다 소매 속에 넣어 오다가 집에 도착할 때를 참지 못하여 길 위에서 펼쳐 보았는데, 오다가 사람이나 말에

부딪쳐도 깨닫지 못했다"고 할 정도였다. 덕분에 젊은 나이에도 재기가 빠르고 넘쳐나, 서서 만언(萬言)을

짓고 누워서 천언을 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상조는 역과에 합격한 4년 뒤인 1763년,

24세 때에 일본의 사신 요청에 응해 영조가 파견한 통신사절단의 한학통사(漢學通事), 즉 중국어 통역관으로

차출되어 일본에 가게 되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조선인의 글씨를 받아 집에 붙여두면 불이 나지 않고 산모가 몸에 지니고 있으면 순산한다는

미신 같은 속설이 퍼져 있었다. 그래서 글과는 전혀 상관없는 무관을 붙잡고 글자 하나 써주기를 부탁하는

일본인들이 부지기수였다고 한다. 또한 일본 문사(文士)들로서는 조선인과 한문으로 대화하는 것이 자신의

지적 능력을 과시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기 때문에 글 짓는 제술관과 서기들을 만나고 싶어 하는 일본인들의

요청이 쇄도했다. 하지만 제술관 한 사람과 세 명 뿐인 서기들이 그들을 모두 응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밀 위에서 글을 써주는 소동(小童)]

 

이상조는 한어(漢語) 역관이라 일본어 통역을 할 필요가 없었기에 바쁘지 않았다. 그래서 자신이 만나고 싶은

문인이 나타나면 자기가 먼저 그에게 접근해서 이야기를 나누며, 시를 주고받았다. 삼사(三使)를 수행하는

서기들은 의무적으로 일본 문인들을 만나 시를 주고받아야 했지만 이상조는 그럴 필요가 없어, 어쩌다 짓고

싶을 때에만 시를 지었다. 서기들처럼 하루에 백여 수를 짓다 보면 천편일률적인 시가 나올 수밖에 없지만,

이상조는 개성이 번쩍이는 시로 일본인들의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랬기에 그의 시를 받아본 일본 문인들은

그를 가장 높이 평가했다. 사신 행렬이 어느 도시에 들어가기도 전에 먼저 그의 이름이 퍼졌다. 이상조에 대한

소문은 급속도로 퍼져나가 이상조가 에도(도쿄)에 도착했을 때는 소문을 들은 일본의 문사들이 이상조를

수소문하여 찾아올 정도가 되었다. 일설에는 일본 사행 중, 그가 일본인들에게 부채에 써준 글만 해도 500개나

되었다고 한다.

 

귀국한 뒤 이상조는 사대부들 사이에서 이름이 더욱 알려지게 되었다. 정사(正使)의 서기(書記)로 일본에

동행했던 서얼 출신의 성대중(成大中, 1732∼1809)을 통하여 이덕무(李德懋)와도 잦은 교류를 가지게 되었다.

이덕무와 이상조는 서로 직접 만난 적은 없으나 이덕무는 이상조의 시문을 자주 얻어다 보았다고 한다.

이상조는 박지원에게도 시를 보내 평가를 받기 원한 일이 있었는데, 박지원은 혹평으로 그를 실망시켰다.

이에 대하여 박지원은 <우상전>에서 ‘농담 삼아 한 말’이라고 변명했지만 이상조에게는 커다란 실망을

안겨 주었다. 이상조는 늘 세상에 자신의 문장을 알아줄 사람이 없음을 한스러워 하다가, 일본에서 돌아온 지 

2년만에 병마에 시달린 끝에 27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죽음에 임박해서 "공히 일월과 더불어

빛을 다툴 수 없다면, 썩어버리기로는 초목과 무엇이 다르랴. 남겨 두어야 무익하다. 세상에 누가 이언진을

알아 줄 것인가" 하고는 자신의 글들을 불태워버렸다 한다. 그러나 다행히도 불사를 때 그의 아내가 빼앗아

둔 덕에 시문 300여 편이 남아 유고집으로 편집되어 전하고 있다. 유고집의 이름은 『송목관신여고

(松穆館燼餘稿)』로, ‘불에 타고 남은 송목관의 글’이라는 뜻이다.

 

박지원을 싫어하고 비방하는 세력이 생긴 것이 우연이 아니고, 박지원이 장인으로부터 꾸지람을 듣고 ‘기상이

너무 드러나는 것’에 대한 걱정을 들은 것은 역시 다 이유가 있었다. 아들 박종채는 “아버지는 약관 때부터

지기(志氣)가 높고 매서웠다”는 표현으로 치장을 했지만, 젊었을 때의 박지원은 성격이 까칠했던 것이 틀림없다.

이상조가 보낸 시문을 받아볼 때만해도 박지원은 자부심이 하늘을 찔러 기고만장하여 남을 인정할만한 여유가

없었던 듯하다. 어떤 의미에서 <우상전>은 박지원의 이상조에 대한 참회록으로 보인다. 박지원이 자신의 글에

남의 글을 이렇게 상세히 소개한 경우는 거의 없다. 어쩌면 이때 크게 뉘우치는 바가 있어, 뒤에 삼십대의

나이에 십대의 이서구나 박제가를 만나면서도 겸손함을 보일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자서(自序)>

아름다운 저 우상은

옛 문장에 힘을 썼네

서울에서 사라진 예(禮)를 시골에서 구한다더니

생애는 짧아도 그 이름 영원하리.

이에 우상전을 짓는다.

 

세 번째 구절 ‘서울에서 사라진 예(禮)를 시골에서 구한다’의 원문은 ‘禮失求野’로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 나오는 공자(孔子)의 말 ‘禮失而求諸野’를 차용한 것이다.

『연암집』<자소집서(自笑集序)>에도 같은 구절이 등장하는데, 「자소집(自笑集)」은 한때 박지원에게 글을

배웠던 역관 이홍재(李弘載)의 문집이다. 어느 날 이홍재가 찾아와 자신이 지은 글들을 보여주며 박지원에게

문집의 서문(序文)을 부탁하였다. 그때 박지원이 이홍재에게 물었다. “자신의 본업을 버리고 이런 쓸데없는

일에 종사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역관이 글을 짓고 또 그것을 문집으로까지 만들려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한 것이다.

이에 이재홍은 이렇게 답했다.

“이것이 바로 본업이며, 과연 쓸데가 있습니다. 대개 사대(事大)와 교린(交隣)의 외교에 있어서는 글을 잘 짓고

장고(掌故)4에 익숙한 것보다 더 중요한 일이 없습니다. 그래서 본원의 관리들이 밤낮으로 익히는 것은 모두

옛날의 문장[古文章]이며, 글제를 주고 재주를 시험하는 것도 다 이것에서 취합니다.”

이에 박지원은 안색을 고치고 사대부들이 과거시험 문장에만 매달리는 세태를 탄식하며, 시간이 지나면 훌륭한

글을 짓는 일이 이홍재와 같은 서리(書吏)들의 하찮은 기예로 전락할까 두렵다고 하였다. 그리고 ‘예가 상실되면

재야에서 구한다(禮失而求諸野)’는 구절을 인용하였다. 글 쓰는 것을 본업으로 하는 사대부가 아니면서도 훌륭한 글을

지은 이상조와 이홍재를 칭찬하기 위해 동원한 구절인 것이다. 

 

[에도의 니혼바시(日本橋) 중심가 를 지나는 조선통신사 행렬과 구경 인파]

 

[통신사 정사(正使) 행렬] 

 

일본 관백(關白)5이 새로 들어서자, 널리 재정을 비축하고 이궁(離宮)과 별관을 수리하고 선박을 정비하고서,

속국(屬國)6의 각 섬들에서 남다른 재주를 갖춘 검객과 기이한 기예를 갖춘 사람과 서화나 문학에 재능이

있는 인사를 샅샅이 긁어내어, 도읍으로 불러 모아 놓고 수년 동안 훈련을 시킨 다음에, 마치 시험문제 대기를

기다리기라도 하듯이 우리나라에 사신을 보내달라고 요청해 왔다. 이에 조정에서는 3품 이하의 문관을

엄선하여 삼사(三使)를 갖추어 보냈다7. 사신을 보좌하는 이들도 모두 문장이 뛰어나고 식견이 많은

자들이었으며, 천문, 지리, 산수, 복서(卜筮)8, 의술, 관상, 무예에 뛰어난 자들로부터, 피리나 거문고 등의

연주, 해학이나 만담, 음식, 술, 장기, 바둑, 말타기, 활쏘기 등에 이르기까지 한 가지 재주로써 나라 안에서

이름난 자들을 모두 딸려 보냈다. 그러나 그들은 시문(詩文)과 서화(書畵)를 가장 중하게 여겼으니, 조선

사람이 쓴 글을 한 자라도 얻는다면 양식을 지니지 않아도 천 리를 갈 수 있었다.

사신들이 거처하는 건물은 모두 비췻빛 구리기와를 이었고, 섬돌은 무늬를 아로새긴 돌이었으며, 기둥과

난간에는 붉은 옻칠을 하고, 휘장은 화제주(火齊珠), 말갈아, 슬슬(瑟瑟) 등으로 치장하고9, 식기는 모두

금은으로 도금하여 사치스럽고 화려하였다. 천 리를 가는 동안 그들은 곳곳에 기묘한 볼거리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찮은 포정(庖丁)과 역부(驛夫)10에게까지도 의자에 걸터앉아 발을 비자나무로 만든 통에

드리우게 하고 꽃무늬 적삼 입은 왜놈 아이종으로 하여금 씻어 주게 하였다. 이처럼 그들이 겉으로 순종하는

척하며 존모(尊慕)의 뜻을 보였으나, 우리 역관들이 호랑이 가죽, 표범가죽, 담비가죽, 인삼 등 금지된

물건들을 가져다 보석과 보도(寶刀)와 몰래 바꾸는 바람에 그곳의 거간꾼들이 이익을 노려 재물에 목숨을

걸기를 마치 말이 치달리듯 하니, 그 이후로는 왜인들이 겉으로만 공경하는 척할 뿐, 더 이상 문명인으로

존모하지 않았다.

그런데 우상(虞裳)만은 한어(漢語)의 통역관으로 수행하여 홀로 문장으로 일본에 큰 명성을 날렸다. 이에

일본의 이름난 중이나 귀한 신분의 사람들이 모두 칭찬하기를, “운아(雲我)11선생은 둘도 없는

국사(國士)이다”라고 하였다. 오사카(大阪) 이동(以東)에는 중들이 기생처럼 재주를 자랑하고 절들이

여관처럼 시끄러운데12, 도박에 돈을 걸듯이 시문(詩文)을 지어 보이라고 요구하였다. 그들이 수전(繡牋)과

화축(花軸)13을 상에 그득 쌓아 놓고, 대개는 어려운 글제와 억센 운(韻)을 내어 궁지에 몰려 했으나,

우상은 매번 즉석에서 읊어대기를 마치 진작에 외어놓은 것을 외우듯이 하였으며, 운을 맞추는 것도

평탄하고 여유가 있었다. 자리가 파할 때까지도 피로한 기색이 없었으며 기운 없는 글귀가 없었다.

그가 지은 <해람편(海覽編)>을 보면 다음과 같다.

 

해람(海覽)은 문자대로는 바다를 구경했다는 뜻이지만, 섬나라인 일본을 구경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 시는

이상조가 일본을 구경한 후에 쓴 시가 아니다. 이상조가 사행에 앞서 사전에 습득한 일본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지은 시이다.

이상조는 평소 자기 시를 남에게 보여주지 않고 스승에게만 보여줬다고 한다. 그의 스승은 혜환 이용휴

(李用休. 1708-1782)이다. 학식이 깊지 못하다는 비판도 있지만, 글로는 당대에 박지원과 서로 쌍벽을

이뤘다고 한다.

그런데 대마도를 거쳐 잇키섬(일기도壹岐島)에 정박해있던 1763년 12월 1일, 이상조는 <해람편(海覽編)> 을

제술관(製述官)14 남옥(南玉, 1722 ∼ 1770)과 서기들에게 보여주면서 평가를 구했다. 자신의 시적 능력과

그동안 쌓은 지식에 대한 평가를 받고 싶은 순수한 동기와 함께 사대부들에게 자신의 존재를 알리고 싶은

욕심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때 부사(副使)의 서기였던 원중거(元重擧, 1719 ~ 1790)는 일면식도 없던

이상조의 시를 읽어보고는 기이한 재주라고 감탄하며 역관인 것이 안타깝다고 일기에 기록하였다 한다.

 

[부산 - 대마도 - 일기도(잇키) - 후쿠오카]

 

<해람편>은 96구(句)에 이르는 5언의 장편시다. 그런데 여기 쓰인 48개의 운자(韻字)는 입성자(入聲字)일 뿐

아니라 험운(險韻)이라고 한다. 험운이란 어려워서 잘 쓰지 않는 운자를 가리키는데, 맞출 수 있는 문자가

많지 않고 말을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비슷한 음을 지닌 글자를 운자로 끌어들여 쓰는 편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그런데 이상조는 하나의 운으로 48개 운자를 관통한 장편시를 지었을 뿐 아니라 그 내용도 화려하였다.

처음에는 세상에 다양한 나라가 있음을 밝히고, 이어서 일본의 모습, 번성한 오사카 시장, 일본의 바다 순으로

소개한 뒤 조선과 다른 일본의 생활습관, 일본의 말과 글을 소개하고 말미는 시를 쓴 취지를 나타내고

마무리하였다. 시의 초입 부분에 일본은 세상의 수많은 나라 중 하나라는 그의 시각은 소중화(小中華) 의식에

사로잡혀 있던 당시의 조선 사대부들과 비교할 때 범상한 사고는 아니었다. 그래선지 이상조의 재주에

감탄하면서도, 원중거는 ‘체제가 바르지 않다’는 평도 같이 곁들였다. 어쨌거나 이 시의 덕분인지 이상조는

이후 사행 기간 동안 정사(正使)의 서기였던 성대중을 도와 문서 작성을 돕기도 하고, 일본 문사들을 상대하기도 하였다.

 

[이성린, 『사로승구도(槎路勝區圖)15』中 <부산>, 1748년, 지본담채, 35.2 x 70.3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대지 안에 널려 있는 일만 나라가

바둑알 놓이듯 별이 깔리듯

머리 틀어 상투 쫓는 우월(于越)16의 나라

머리를 박박 깎는 인도란 나라

소매 너른 옷 입는 제로(齊魯)17 나라

모포를 뒤집어쓰는 호맥(胡貊)18 나라

혹은 문명하여 위의(威儀)19를 갖추기도 하고

혹은 미개하여 음악이 요란스럽기만 하네

무리로 나뉘고 끼리끼리 모여서

온 땅에 펼쳐진 게 모두 인간인데

일본이란 나라를 볼적이면

깊은 파도 넘실대는 섬나라

숲 속엔 부목(榑木)20이 웅장하여

그 곳에선 해돋이를 볼 수 있고

여인네 하는 일은 비단에 수놓기요

토산물은 등자와 귤이며

고기 중에 괴이한 게 낙지라면

나무 중에 괴이한 건 소철이라네.

그 진산(鎭山)21 과 방전(芳甸)22

구진성(鉤陳星)23처럼 차례로 늘어져 있어

남북으론 가을과 봄이 다르고

동서로는 낮과 밤이 갈라지도다

중앙은 그릇을 엎어 놓은 것과 같아

꼭대기엔 태고적 눈이 영롱하네

그늘로 소 떼를 덮는 큰 나무와

까치 잡는 데나 쓰이는 흔한 옥돌과

단사(丹砂)나 금이나 주석들이

모두 다 산에서 흔히 나온다네.

오사카(大阪)는 큰 도회지라

진기한 보물들은 용궁의 보물을 다 털어낸 듯

기이한 향은 용연향(龍涎香)24을 사른 것이요

보석은 아골석(雅鶻石)을 쌓아 놓았네

입에서 뽑은 코끼리 어금니

머리에서 잘라낸 무소뿔

페르시아의 상인들도 눈이 부셔하고

절강의 저자들로 빛이 바랬네

온 섬이 지중해를 이루어

오만 가지 산 것들이 구물거려라

돛을 펼친 후어(鱟魚)25의 등이며

깃발을 달아맨 해추(海鰌)26의 꼬리며

다닥다닥 붙은 굴은 벌집 같은데

굴 더미 등에 진 거북은 소굴에서 쉬네

산호바다로 문득 변하니

번쩍번쩍 음화(陰火)가 타오르고27

문득 검푸른 바라로 변하니

노을 비치어 갖가지 빛깔이로세

수은 바다로 문득 변하니

수만 개가 뿌려진 큰 별 작은 별

커다란 염색 가게로 문득 변하니

천 필의 능라 비단 찬란하고

커다란 용광로로 문득 변하니

오금(五金)의 빛28이 터져 퍼지네

용이 하늘을 가르며 힘차게 나니

천 벼락 만 번개가 치고

발선(髮鱓)29과 마갑주(馬甲柱)30

신비하고 기괴해 마구 얼을 빼네

백성들은 알몸에다 관을 썼는데

독하게 쏘아 대니 속이 전갈 같구나

일 만나면 죽 끓듯 요란 떨고

사람을 모략할 땐 쥐처럼 교활하네

이익을 탐낼 땐 불여우가 독을 쏘듯

조금만 거슬려도 돼지처럼 덤벼들고

계집들은 남자에게 농지거리 잘하고

아이들은 잔꾀를 잘 부리네

조상은 등지면서 귀신에 혹하고

살생을 즐기면서 부처에 아첨하네

글자는 제비 꼬락서니 못 면하고

말은 때까치 울음소리31나 다를 바 없네

남녀 간은 사슴32처럼 문란하고

또래끼린 물고기처럼 몰려다니며

씨불대는 소린 새 지저귀듯

통역들도 잘 알지 못한다네

진귀한 풀과 나무들은

나함(羅含)33조차 자기 책을 불사를 지경이고

수없이 뻗어 있는 물길들은

역생(酈生)34조차 항아리 속 진디등에35로 만드네

요사스러운 수족(水族)들은

사급(思及)36조차 도설을 덮게 하고

도검에 새겨진 꽃무늬와 글자들은

정백(貞白)37이 속편을 다시 지어야 하리

지구에 관한 시비곡직과

해도(海島)에 대한 갑론을박38

서태(西泰) 이마두(利瑪竇)39

치밀하고 명쾌하게 밝혀 놓았네

변변찮은 내가 이 시를 지어 바치도다

말은 촌스러워도 뜻은 퍽 진실하니

이웃 나라와 잘 지내는 큰 계략이 있으니

잘 구슬려서40 화평을 잃지 말지라.

 

 

역시나 번역된 한시(漢詩)를 본들 대충 그 뜻이나 짐작할 뿐이지, 원작 시의 뛰어남과 감흥은 알 길이 없다.

 

[1711년 8차 통신사 선단도, 출처 까마구둥지님 블로그]

 

[1719년 9차 통신사 선단도 병풍 中, 후쿠시마시 간나베 역사민속자료관]

 

[1719년 9차 통신사 선단도 병풍 中 뱃머리 부분 확대]

 

 

 

 

참고 및 인용 : 연암집(박지원 지음, 신호열, 김명호 옮김, 2007, 돌베개), 한국고전용어사전(2001.세종대왕기념

사업회),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서울신문 기고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

 

  1. 또 다른 이름은 이언진(李彦瑱) [본문으로]
  2. 조선시대 외국어의 통역과 번역에 관한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본문으로]
  3. 사역원 종6품 관직 [본문으로]
  4. 관례(慣例) [본문으로]
  5. 성인이 된 천황을 대신하여 정무를 총괄하던 관직으로 헤이안시대(平安時代)부터 생겨났다., 이후 무사정권인 막부(幕府)시대에는 쇼군(將軍)이 최고 실력자였으나, 1590년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는 쇼군 대신 관백(關白)을 자처했다. 여기서는 1760년, 도쿠가와 이에하루(德川家治)가 에도(江戸) 막부의 제10대 쇼군(將軍)으로 즉위한 것을 가리킨다 [본문으로]
  6. 에도시대에 다이묘[大名]들이 관할하여 지배했던 영역을 의미 [본문으로]
  7. 당시의 삼사(三使)는 정사(正使)는 조엄(趙曮, 1719 ~ 1777), 부사(副使)는 이인배(李仁培, 1716 ~ 1774), 종사관(從事官)은 김상익(金相翊, 1721 ~ ?)이었다. 조엄은 이때 일본에서 고구마 종자를 들여와 동래와 제주도에 재배하게 하여 최초로 조선에서 고구마 재배를 시작하게 하였다 [본문으로]
  8. 고대 중국의 점법(占法). 복(卜)은 귀갑(龜甲)이나 동물의 뼈를 불에 태워 나타나는 금의 모양을 보고 점을 치던 방법이고, 서(筮)는 산가지의 조작에 의해서 얻어진 수(數)로 길흉의 점을 치는 방법이다 [본문으로]
  9. 화제주, 말갈아, 슬슬은 모두 보석의 일종 [본문으로]
  10. 포정, 역부 : 통신사 일행 중 소를 잡는 도우장(屠牛匠)·과 말을 관리하는 이마(理馬) [본문으로]
  11. 운아(雲我)는 이언진이 일본에서 사용했던 호이다. 논어의 ‘불우하면서 부귀한 것은 내게 뜬 구름과 같다(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는 구절에서 따온 것 [본문으로]
  12. 성대중의 ‘일본록(日本錄)’에서 인용한 구절 [본문으로]
  13. 수전(繡牋), 화축(花軸) : 화려한 종이와 두루마리 [본문으로]
  14. 사절단에서 외교문서의 초안 등을 담당했던 학사(學士) [본문으로]
  15. 사로승구도(槎路勝區圖)는 도화서(圖畫署) 화원(畫員)이었던 이성린(李聖麟, 1718~1777)은 1748년 조선의 열 번째 통신사 사행의 수행화원(隨行畫員)으로 참여하여 부산에서 에도에 이르는 여정을 그린 작품이다. 사행 중의 주요 명승지와 주요한 상황 등을 그린 30점의 그림인데 ‘사로(槎路)’는 바닷길을 의미하고, ‘승구(勝區)’는 경치가 좋은 지역을 의미한다. 부산(釜山)은 ‘솥산’이라는 뜻으로 솥을 엎어놓은 듯한 부산과 항구의 모습을 그렸다. 조선통신사는 이곳에서 모든 준비를 갖춘 뒤 사행선을 타고 일본으로 떠났다. [본문으로]
  16. 중국 남방에 있던 소수민족 [본문으로]
  17. 제나라와 노나라는 맹자와 공자가 태어난 나라이고, 소매가 넓다는 것은 유자(儒者)의 복장을 말한다 [본문으로]
  18. 중국 북방의 흉노(匈奴) 등의 민족 [본문으로]
  19. 엄숙한 몸차림. 예법에 맞는 몸가짐 [본문으로]
  20. 전설상 해가 돋는 곳에 있다는 신목(神木). 출전 淮南子(회남자) [본문으로]
  21. 나라나 도읍지 또는 각 고을 뒤에 있는 큰 산 [본문으로]
  22. 풀이 무성한 들판 [본문으로]
  23. 북극에 가장 가까운 6개의 별로 천자를 상징하는 자미성(紫微星)을 고리처럼 호위하고 있다. 자미성은 북두칠성(北斗七星)의 동북쪽에 15개로 벌이어 있는 별 [본문으로]
  24. 수컷 향유고래의 배설물로 만든 고급 향 [본문으로]
  25. 참게. 참게는 바람이 불면 등에 있는 껍질을 돛처럼 펴서 바람을 타고 옮겨 다닌다고 한다 [본문으로]
  26. 꼬리지느러미가 솟아 있는 긴흰수염고래 [본문으로]
  27. 산호가 물속에서 빛을 내는 것을 가리킴 [본문으로]
  28. 황색 금, 백색 은, 적색 구리, 흑색 철, 청색 납의 다섯 가지 빛깔 [본문으로]
  29. 장어처럼 생긴 드렁허리의 일종 [본문으로]
  30. 참조개 또는 꼬막 [본문으로]
  31. 원문은 ‘격설(鴃舌)’로 잘 알아들을 수 없는 다른 나라 말을 가리키는 단어 [본문으로]
  32. 원문은 빈모류우록(牝牡類麀鹿). ‘예기(禮記)에 ’저 금수(禽獸)만큼은 예가 없다. 그러므로 아비와 새끼가 같은 암컷(사슴)과 관계한다(父子聚麀)‘는 구절이 있다 [본문으로]
  33. 동진(東晋) 때의 인물로 산수(山水)에 관한 책을 지었다 [본문으로]
  34. 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北魏)의 지리학자인 역도원(酈道元)으로, 고대 지리학의 명저인 ‘수경주(水經注)’를 지었다 [본문으로]
  35. 진디등에는 모기와 비슷한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은 곤충으로, ‘항아리 속 진디등에’는 ‘우물 안 개구리’와 같은 의미로 쓰였다 [본문으로]
  36. 명나라 때 중국에 들어왔던 예수회 선교사 알레니(Julio Aleni)의 자(字) [본문으로]
  37. 중국 남조(南朝)의 양(梁)나라 학자인 도홍경(陶弘景)을 가리키는 말로, 그는 역대 제왕들의 도검(刀劍)에 대한 책을 저술했다 [본문으로]
  38. 서양의 지원설(地圓說)과 중국의 전통적 우주관인 천원지방설((天圓地方說) [본문으로]
  39. 이마두는 이탈리아의 예수회 선교사 Matteo Ricci(1552 ~1610)의 중국 이름, 서태(西泰)는 자(字) [본문으로]
  40. 원문의 기미(羈縻)는 굴레와 고삐라는 뜻이다. 말에 굴레를 씌우거나 소에 고삐를 매어 통제한다는 뜻 [본문으로]

'우리 선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암 박지원 20 - 옥갑야화  (0) 2019.12.07
연암 박지원 19 - 우상전 2  (0) 2019.11.30
연암 박지원 17 - 김신선전  (0) 2019.11.27
연암 박지원 16 - 호질(虎叱)  (0) 2019.11.25
연암 박지원 15 - 양반전  (0) 2019.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