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선조들

정조 2 - 피곤한 왕

從心所欲 2020. 6. 9. 22:16

 

[Lilian May Miller의 목판화 <A Korean Shrine(조선의 성지聖地)>]

 

관물헌이 더워 정조의 몸이 손상될까 염려할 정도였으면 그 자리에 함께 했던 신하들의 고역은 어떠했을까! 정조는 그들에게 피서법을 알려준다.

 

“더위를 물리치는 데는 책을 읽는 것만큼 좋은 방법이 없다. 책을 읽으면 몸이 치우치거나 기울어지지 않고 마음에 주재(主宰)가 있어서 외기(外氣)가 자연히 들어오지 못하게 된다.”

 

지금도 직장생활에 잘난 상사 만나면 피곤하다. 정조를 모시던 신하들도 많이 피곤했을 듯싶다.

 

경연(經筵)은 ‘경전(經典)을 공부하는 자리’란 의미이다. 유학에 대한 학문이 깊은 신하들이 왕에게 유학의 경서를 강론하며 왕을 학문으로 인도하는 자리다. 물론 일방적 강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상호 토론도 이루어지지만 강의의 주체는 신하이고 임금은 주로 그것을 듣는 것이 일반적 형태다. 경연의 종류에는 오전의 조강(朝講), 낮의 주강(晝講), 오후의 석강(夕講) 그리고 불시에 열리는 소대(召對) 등이 있다. 조선시대 국왕 교육을 전담한 기관이 홍문관이었기 때문에 경연에 참여하는 전임 관원은 기본적으로 홍문관의 관리들이었다. 하지만 이들 전임 관원 외에도 의정부의 3정승과 6조(六曹)의 판서(判書) 그리고 승정원의 승지 등이 겸임 관원의 자격으로 참여하였다.

 

「대학」을 강(講)하는 경연 자리에서 정조가 연신(筵臣)들에게 물었다.

“『사서몽인(四書蒙引)』에 이르기를 ‘대인(大人)의 학이란 학궁(學宮)을 지적해서 한 말이 아니라 대인이 배우는 것이고 소자(小子)가 배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학이라고 하는 것이다‘ 하였다. 또 어떤 이는 ’대학은 소학의 상대어로 한 말이 아니라 이단곡학(異端曲學)의 상대어로 한 말이다‘라고 했고, 이에 대하여 후대 유학자는 ’『혹문(或問)』에서는 대인의 학이라고 가르치면서 소자의 학에 대한 상대어라고 말했는데 어찌 소학의 상대어가 아니라고 말하는가?‘라고 반박했다. 이 유학자의 말이 맞는다면 「대학」의 대(大)자는 사람 중에서 대인이란 뜻으로 보아야지 학문의 큰 것이라는 의미로 보아서는 부당할 것 같은데 이 말이 과연 맞는 말인가?

근세의 유자(儒者)는 또 ‘대학은 학(學)의 큰 것이요, 소학은 학의 작은 것이다’라고 하였고 『한서(漢書)』와 『대대례(大戴禮)』에서도 모두 ‘소학은 작은 기예를 익히는 것이요, 대학은 큰 기예를 익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가의(賈誼)는 『신서(新書)』에서 ‘소학은 작은 예절을 행하고 작은 도를 업으로 삼는 것이며, 대학은 큰 예절을 행하고 큰 도를 업으로 삼는 것이다’라고 말했고 『백호통(白虎通)』에서는 글과 계산을 배우는 것이 소학의 일이라고 말했고, 『식화지(食貨志)』에서는 육갑(六甲)과 오방(五方), 글쓰기, 계산 등을 배우는 것을 소학의 일로 삼았다. 그런즉 작은 기예와 작은 예절이란 글쓰기와 셈하기 이 두 가지라는 것이 분명한데 이 설이 어떠한가?...소학을 소예(小藝)라고 결론짓더라도 근거가 없지는 않을 듯한데 경들의 견해는 어떠한가?”

▶『사서몽인(四書蒙引)』 : 중국 명(明) 나라 때의 학자인 채청(蔡淸)이 주희(朱熹)의 사서집주(四書集註)를 해석한 책.
▶『혹문(或問)』 :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해설한 것을 혹문이라고 하며, 대학혹문은 대학을 문답식으로 해설하여 정리해 놓은 책.
▶학궁(學宮) : 유학(儒學)의 교육(敎育)을 맡아보던 관아(官衙). 조선에서는 성균관(成均館)을 가리킴.
▶『한서(漢書)』 : 중국 후한(後漢)시대의 역사가 반고(班固)가 저술한 역사서
▶『대대례(大戴禮)』: 중국 전한(前漢)의 대덕(戴德)이 공자의 72제자의 예(禮)에 관한 설(說)을 모아 엮은 책
▶가의(賈誼) : 전한(前漢) 시대 최고의 천재 학자로, 『신서(新書)』는 가의가 한(漢)나라의 폐단을 지적하여 펴낸 정치이론서
▶『백호통(白虎通)』 : 후한(後漢) 시대 반고(班固) 등이 오경(五經)에 대한 논의를 편찬한 책
▶『식화지(食貨志)』 : 중국 역대 정사(正史) 가운데 포함되어 있는 경제에 관한 편명(篇名)

 

「대학」이 기본적으로 어떤 학문인가에 대하여 정조는 여러 가지 주장을 망라하여 소개하면서 신하들의 의견을 물었다. 아마도 정조는 「대학」에 대하여 광범위하고 자유로운 토론을 하고 싶었던 듯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연신의 답은 이랬다.

“대학의 도는 주자가 ‘대인의 학’이라고 해석했고 또 『혹문』에서 ‘소자의 학의 상대어’라고 했으니 마땅히 사람의 대소로 보아야 합니다. 소학의 일은 육예(六藝)가 그 중의 하나이니 글쓰기와 셈하기를 소학의 공부로 보는 것은 진실로 옳습니다. 그러나 만약 글쓰기와 셈하기 외에 다시 소학의 공부가 없다고 한다면 신은 감히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육예(六藝) : 중국 주대(周代)에 행해지던 교육과목으로 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등 6종류의 기술이다. 예는 예용(禮容), 악은 음악, 사는 궁술(弓術), 어는 마술(馬術), 서는 서도(書道), 수는 수학(數學)이다.

 

장황한 정조의 질문에 비하여 연신의 답은 너무 짤막하고 내용도 별게 없다. 기껏 덧붙인 것이 주자의 해석 하나인데 설마 정조가 그것을 몰라 이 질문을 꺼냈을까?

 

「대학」의 첫 구절은 ‘대학의 도는 밝은 덕을 밝히는 데 있으며, 백성을 새롭게 하는 데 있고, 지극한 선(善)에 머무는데 있다.(大學之道 在明明德, 在新民, 在止於至善)’이다. 정조는 이 구절 중 ‘멈추다’, ‘머무르다’라는 뜻의 ‘지(止)라는 글자에 주목하여 자신의 생각을 피력했다.

“지어지선(止於至善) 네 자를 「장구(章句)」에서는 ‘반드시 이곳에 이르러 옮기지 않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곳에 이른다는 것은 이미 이 경지에 도달하여 그곳에 거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요, 옮기지 않는다는 것은 이곳에 거한 뒤에는 다시 이동하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인은 겸손한 덕을 지니어 스스로 만족하는 마음이 없으므로 과정과 단계를 가득 채웠더라도 꼭대기 끝에서 더욱 나아가기를 구하지, 내가 이미 이런 경지에 이르렀으니 그칠 만하다고 여기신 적이 없다. 그렇다면 지금 이 지선(至善)의 소재가 비록 성인의 지극한 공(功)이라고 하더라도 성인의 지극히 성실하여 쉬지 않는 도는 마땅히 겸손하고 자만하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리어 겨우 이르자마자 바로 그치고 바로 또 옮겨 가지 않는 것이라면 어찌 성인의 성스러움이 더더욱 성스러워지는 뜻이겠는가?”

▶「장구(章句)」: 여기서는 주자(朱子)가 「대학」의 장(章)과 구(句)를 나누고 주석을 단 「대학장구(大學章句)」

 

정조의 질문은 도(道)는 완성될 수 없는 것으로, 어느 경지에 다다랐다고 해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늘 더 높은 경지에 오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하는 것이어야 하는데 ‘지선(至善)’에 이르렀다고 해서 거기에 머무르고 만다면 그것이 어떻게 성인이 덕을 닦는 합당한 자세이겠느냐는 것이다.

이에 김재찬(金載瓚)이 답을 했다.

“지위를 가지고 말한다면 지선(至善)은 가장 꼭대기의 자리지만 공부를 가지고 말한다면 한 가지 일을 함에 지선에 그치고 두 가지 일을 함에 지선에 그치어 백 가지, 천 가지의 일을 하면서 모두 지선에 그치기를 구하는 것이니 어찌 나아가고 나아가 그침이 없는 뜻이 아니겠습니까.”

 

김재천은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도 선발되고, 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 성균관의 으뜸 벼슬이자 요즘으로 치면 서울대 총장격인 대사성(大司成), 홍문관제학(提學), 대사헌, 규장각직제학(直提學)을 지낼 정도로 학문에는 인정받던 인물이다. 그런 김재천의 답이지만 답변 내용이 질문의 격에는 한참 못미처 보인다. 정조는 즉각 반박했다.

 

“대답이 오히려 명확성이 부족하다. 성인이 나아가고 나아가 그침이 없는 것은 도(道)의 전체요, 지선(至善)에 이르러 옮기지 않는 것은 일마다 다 지선인 것이다. 이 도의 거대함은 한 가지 일이라도 그 극치에 이르지 않음이 없을 것을 요구하니, 비록 요순과 주공, 공자 같은 성인이라 할지라도 어찌 항상 부족하다는 탄식이 없을 수 있겠는가.”

 

정조가 경연에서 신하들에게 던지는 질문은 주자학에 경도된 신하들의 좁은 시야를 넓게 틔워주려는 의도였다. 그러나 경연관들의 수준이 정조에 미치지 못함으로써 그 시도는 번번이 무위로 끝나고 말았다. 그러자 정조가 경연에서 질문하는 횟수가 점점 줄어들었는데 이에 대하여 정조는 이렇게 말했다.

“신하들이 내가 경연에서 어려운 질문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혹은 공부를 게을리 해서 그런 것이라 의심하기도 하겠지만, 이는 나의 뜻을 모르는 자들이다. 근래의 강관(講官)은 경술(經術)에 익숙한 자가 적으니 만일 의심나는 글을 질문하여 심오한 뜻을 토론하다가 혹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거나 또는 잘못 대답을 하게 되면 그의 무안함이 어떠하겠는가. 이 점 때문에 내가 차라리 학문을 게을리 한다는 소리를 들을지언정 강관에게 무안을 주지 않으려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라 정조 때의 경연은 오히려 정조가 신하들을 가르치는 자리로 바뀌었다. 영조는 유학에서 이상적인 사회라 말해지는 하(夏)·은(殷)·주(周) 삼대(三代)의 군주상인 ‘군주가 하늘을 대신하여 백성을 기르고 가르치는 존재’가 되는 군사(君師)가 되려고 노력하였다. 정조 역시 할아버지인 영조가 추구했던 ‘군사(君師)’에의 뜻을 이어받아 신하들의 스승이 되기를 자처했다.

 

정조는 경연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까지 마련했다. 신하들로 하여금 미리 예습을 해오게 하는 방법이었다. 이를 위하여 정조는 경연에서 강학(講學)할 부분에 대하여 미리 문목(問目)을 만들어 경연관들에게 나눠주었다. 문목(問目)은 질문의 제목이다. 경연관들에게 토론할 주제를 미리 알려주어 준비토록 하려는 정조 나름의 고육책이었다.

 

한여름 정조가 더위를 무릅쓰고 하루 종일 문목을 뽑는 일에 매달리자 근신(近臣)이 정조를 만류하였다.

“성인(聖人)도 질병은 삼가셨다는데 그렇게 옥체를 돌보시지 않다가 병이라도 나시면 어쩌시려고 하십니까?”

정조가 답했다.

“내가 처음 초계문신을 둔 것은 뜻이 학과(學課)를 권장하려는데 있었다. 내가 만약 몸소 앞장서서 부지런히 격려하지 않으면 어떻게 여러 문신을 바로잡아 신칙(申飭)할 수 있겠는가? 게다가 나는 본래 이런 일을 좋아하는 습성이 있어 종일토록 뽑아 기록하는 일을 해도 피곤한 줄 모른다.”

▶성인(聖人)도 질병은 삼가셨다는데 : 논어에 ‘공자가 삼가는 일은 재계(齋戒, 부정한 일을 멀리하고 심신을 깨끗이 하는 것)와 전쟁과 질병이었다.’라는 구절을 빌린 말.
▶초계문신(抄啓文臣) : 정조가 만든 제도로, 37세 이하의 당하관 중에서 선발하여 규장각(奎章閣)에 소속시켜 재교육과정을 밟게 한 연소문신(年少文臣)들을 가리킨다. 정조 5년인 1781년부터 1800년까지 10차에 걸쳐 138인이 선발되었다. 본래 직무를 면제하고 연구에 전념하게 하되 매월 2회의 구술고사[講]와 1회의 필답고사[製]로 성과를 평가하였다. 40세가 되면 졸업시켜 익힌 바를 국정에 적용하게 하였다.
▶근신(近臣) : 임금을 측근에서 모시는 신하. 주로 왕명의 출납(出納)을 담당하는 승정원의 승지(承旨)나 환관(宦官), 사관(史官) 등을 가리킴.

 

왕이 이럴진대 그 왕을 모시는 신하들의 피곤함은 어땠을까? 정조는 자신과 신하 모두에게 피곤한 왕이었다. 정조는 왜 이렇게 자신과 주변을 닦달했을까?

골목식당에서 백종원은 이런 취지의 말을 종종 한다. “장사하는 사람이 피곤하고 힘들수록 찾아오는 손님들의 만족이 커진다.” 정조는 군림하거나 자리를 지키는 왕이 아니라 신하들의 본이 되어 백성을 다스리고 나라를 운영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자 했던 것이다.

 

[『선원보감』에 실려 있는 정조 초상화. 『선원보감』'은 조선왕실의 준원(濬源), 선원(璿源), 묘도(墓道), 능지(陵誌), 후비(后妃), 어제(御製) 등을 기록한 책으로, 1931년에 전주이씨선원보소에서 발행한 책이 남아있다. 화가의 솜씨와 시대로 보아 정조의 실제 모습과는 전혀 상관없는 그림으로 보인다.]

 

 

참고 및 인용 : 조선왕조실록, 정조이산어록(손인순, 2008. 고전연구회 사암), 문화유산 알아보기(신명호, 문화재청헤리티지채널). 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이덕일, 2008, 고즈윈), 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

'우리 선조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 4 - 일인지하  (0) 2020.06.17
정조 3 - 군사(君師)  (0) 2020.06.12
정조 1 - 수기치인  (0) 2020.06.07
연암 박지원 32 - 졸(卒)  (0) 2020.05.15
연암 박지원 31 - 양양부사  (0) 2020.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