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민심서

목민심서 32 - 절도 있는 생활과 단정한 옷차림은 수령의 도리이다.

從心所欲 2021. 4. 26. 06:06

● 율기(律己) 제1조 칙궁(飭躬) 1

일상생활에는 절도가 있고, 옷차림은 단정히 하며, 백성들에게 임할 때에는 장중(莊重)하게 하는 것이 옛날부터 내려오는 수령의 도리이다.

(與居有節 冠帶整飭 莅民以莊 古之道也)

▶율기(律己) : 『목민심서(牧民心書)』 제2편인 율기(律己)는 자신을 가다듬는 일을 말한다. 수신(修身)ㆍ제가(齊家)ㆍ치국(治國)ㆍ평천하(平天下)가 일체 자기의 행동을 바르게 하는 수신(修身)을 근본으로 삼는 만큼, 수령 자신의 몸가짐을 가다듬는 일부터 은혜 베푸는 일까지 6조로 나누어 논하고 있다.

▶칙궁(飭躬) : 자신의 몸가짐을 가다듬는 일.

 

동트기 전에 일어나서 촛불을 밝히고 세수하며, 옷매무새를 단정히 하고 띠를 띠고 묵묵히 꿇어앉아서 신기(神氣)를 함양(涵養)한다. 얼마쯤 있다가 생각을 정리하여 오늘 해야 할 일들을 놓고 먼저 선후의 차례를 결정한다. 제일 먼저 무슨 문서를 처리하며, 다음에는 무슨 명령을 내릴 것인가를 다 마음속에 분명히 정해야 한다. 그리고서 제일 먼저 할 일에 대하여 그 선처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며, 다음 할 일에 대하여 선처할 법을 생각하되, 힘써 사욕(私慾)을 끊어 버리고 한결같이 천리(天理)를 따르도록 한다.

먼동이 트면 촛불을 끄고 그대로 꿇어앉아 있다가, 날이 밝아 시노(侍奴)가 시간이 되었다고 아뢰면 - 부임(赴任) 상관조(上官條)에 보인다. - 창을 열고 이속(吏屬)들의 참알(參謁)을 받는다.

▶시노(侍奴) : 군아(郡衙)에서 부리는 사내종. 급창(及唱)이라고도 한다.

 

흑포립(黑布笠)이란 본디 길에서 볕을 가리는 물건이므로 평상시 착용하는 것이 아니고, 더욱이 공복(公服)도 아니니, 백성을 다스리는 이는 항상 오사모(烏紗帽)와  청창의(靑敞衣)를 착용해야 한다. 요즈음 경관(京官)으로서 입직(入直)하는 이는 다 그렇게 하는데, 외관(外官)만이 어찌 그렇게 하지 않겠는가?

▶흑포립(黑布笠) : 대나무로 틀을 짠 위에 검은 색깔의 베나 모시 따위로 싸개를 한 갓.

▶오사모(烏紗帽) : 명주실로 바탕을 조금 거칠게 짠 비단인 깁[사(紗)]을 써서 만든 탕건 모양의 흑색 모자. 관원이 관복인 단령(團領)을 입을 때 쓴다.

▶청창의(靑敞衣) : 푸른 색깔의 창의(敞衣). 창의(敞衣)는 관원의 평상 웃옷으로 소매가 넓고 뒷솔기가 갈라져 있다.

▶경관(京官) : 서울 중앙 관아의 관원과 개성(開城), 강화(江華), 수원(水原), 광주(廣州) 등의 유수(留守). 조선시대 개성ㆍ강화ㆍ수원ㆍ광주는 지방이지만 그 지역 수령은 경관으로 분류했다.

▶외관(外官) : 경관(京官)에 상대되는 말로 지방관을 가리킴. 내직과 외직이라고도 일컬었다.

 

대좌기(大坐起) 같은 경우에는 단령포(團領袍)와 정대(鞓帶), 흑화(黑靴)를 착용하고 의자에 앉아서 참알을 받아야 한다. 군사(軍事)로 대좌기가 있을 경우에는 융복(戎服) - 호수립(虎鬚笠)과 사철릭(紗帖裏)차림 - 을 갖추고 칼을 차야 한다.

간혹 소탈함을 즐기고 구속됨을 싫어하는 자를 보면 종건(騣巾)만 쓰고 협수의(夾袖衣)를 걸치며, 더러는 망건(網巾)도 쓰지 않고 버선도 신지 않은 채 아전과 백성들에게 임하는데, 이는 크게 옳지 못한 일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억(抑)〉에,

“빈틈없는 위의(威儀)를 갖춘 이는 덕이 엄정함을 이름이네.”

하였고 또,

“위의를 공경하고 삼감이여! 백성들의 본보기이네.”

하였으니, 이는 옛사람의 도이다.

위의가 없으면 백성들이 본받을 바가 없으니 어떻게 일을 할 수 있겠는가?

▶대좌기(大坐起) : 좌기는 관아의 장관(長官)이 자리에 나가 공무를 집행한다는 뜻으로, 특별한 의식이 있는 날에는 대좌기(大坐起)라 하여 위의(威儀)를 더 갖춘다.

▶단령포(團領袍) : 옷깃을 둥글게 만든 관원의 공복(公服). 색깔에 따라 흑단령(黑團領), 홍단령(紅團領), 백단령(白團領)이 있으며 ‘덜렁’이라고도 한다.

▶정대(鞓帶) : 가죽으로 만들어 공복(公服) 위에 두르는 띠. 허리에 둘러 의복의 앞이 벌어지지 않게 하는 끈.

▶흑화(黑靴) : 관리들이 공복 차림에 신는 검은 빛깔의 갖신. 흑피화(黑皮靴).

▶융복(戎服) : 조선시대 군복의 한 종류. 범의 수염으로 장식한 군모인 주립(朱笠)을 쓰고 깁[사(紗)]으로 만든 철릭(帖裏)을 입은 복장.

▶호수립(虎鬚笠) : 범의 수염을 꽂아 장식한 주립(朱笠)의 한 종류. 주립(朱笠)은 융복(戎服)을 입을 때 쓰는 붉은 칠을 한 갓.

▶사철릭(紗帖裏) : 사(紗)로 만든 철릭. 철릭은 무관의 공복 중의 하나로 직령(直領)으로 허리에 주름이 잡히고 큰 소매가 달렸다. 당상관(堂上官)은 남색, 당하관은 홍색이었다.

▶종건(騣巾) : 말 꼬리털로 만든 간편한 건(巾).

▶협수의(夾袖衣) : 군복(軍服)의 한 가지로 오늘날의 두루마기와 비슷한 옷. 동달이.

▶망건(網巾) : 상투 있는 사람이 머리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말총 등으로 그물처럼 만들어 머리에 두르는 건.

 

[철릭, 문화재청]

 

[융복 : 글림자의 한복이야기 아트북 자료]

 

[드라마 ‘킹덤’ 속 주립을 쓴 무관들]

 

[각대, 관복 위에 두르던 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저녁때 관아(官衙)를 물러 나오는 일은 가을과 겨울에는 조금 늦게 하고 봄과 여름에는 조금 이르게 해야 한다. - 부임(赴任) 상관조(上官條)에 보인다. -

호태초(胡太初)가 말하였다.

“하루의 일은 새벽에 달렸으니, 오늘 무슨 일은 결재하고 무슨 공문은 통보하며, 무슨 부세(賦稅)ㆍ물종(物種)은 처결해야 하고, 갇혀있는 아무개는 석방해야 하는 등의 일을 때때로 살펴서 신속히 행해야 한다.”

여공저(呂公著)는 고을살이할 적에 대체로 오고(五鼓)가 되면 일어나서 촛불을 밝히고 공문서를 살피며, 여명(黎明)이 되면 관아에 나아가 백성들의 송사를 처결하고, 물러나 편히 앉아 한가롭게 있을 때에도 마치 재계(齋戒)하듯 하였으며, 손[賓]이나 요속(僚屬)들이 때에 구애됨이 없이 찾아왔다. 그러므로 군에는 밀린 일이 없고 아랫사람의 사정이 위로 통하였다. 무릇 여섯 군을 다스렸는데 항상 이같이 하였다.

▶오고(五鼓) : 오경(五更). 새벽 3 ~ 5시.

 

당(唐)의 배요경(裵耀卿)이 정사에 부지런하였다. 관아 앞에 큰 오동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새벽이 되면 새떼가 날아들어 모이므로 이로써 관아에 나아가는 시간을 정하여 보효조(報曉鳥)라 불렀다. 그때 사람들이 이를 아름답게 여겼다.

▶보효조(報曉鳥) : 알릴 보(報), 새벽 효(曉), 새 조(鳥).

 

한지(韓祉)가 감사로 있을 적에는, 동트기 전에 세수하고 관(冠) 쓰고 도포 입고 나아가 앉되, 앉는 자리 곁에는 베개나 안석(案席)을 두지 않으며, 몸을 바로 세우고 꿇어앉아 손을 꽂고 종일토록 몸을 틀거나 흔드는 일이 없었으며, 창가 난간에 기대는 적이 없었다. 그와 함께 3년이나 지낸 자도 그가 피곤해서 하품하거나 기지개 켜는 모습을 본 적이 없었다. 저녁 식사가 끝나면 언제나 뒤뜰을 거닐되, 그 꺾어 도는 곳이 곡척(曲尺)처럼 그어놓은 듯하여 시종 한결같았다.

▶한지(韓祉) : 조선 문신(1675 ~ ?). 충청도와 전라도 관찰사를 지냈는데 청백(淸白)하기로 유명하였다.

▶곡척(曲尺) : 나무나 쇠로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

 

송 태조(宋太祖)가 어느 현령(縣令)에게 말하였다.

“부디 비단이불 속에서 퇴청하지 말라.”

 

문 노공(文潞公)이 유차현(楡次縣)에 있을 때, 관아의 북[鼓]에 글을 지어 쓰기를,

이제 행여 이불 속에 누워 있는 자 있으면 如今幸有黃紬被머리 끌어내어 퇴청 북소리 듣게 하리라 拏出頭來聽放衙

하였다 - 소식(蘇軾)의 시에 “그대가 이불 끌어안고 편히 누워서 퇴청함을 보노라.[看君擁黃紬 高臥放晩衙]” 하였다. -

 

범 문정공(范文正公)이,

“내가 매양 잠자리에 들면 곧 하루 봉양 받은 비용과 행한 일을 헤아려서 과연 서로 맞먹으면 잠이 깊이 들지만, 그렇지 않으면 밤새도록 편히 잠을 이루지 못하고, 다음날에 기어코 맞먹을 일을 하고야 만다.”

하였다.

 

《시경(詩經)》 〈위풍(魏風) 벌단(伐檀)〉에,

“저 군자(君子)여, 일하지 않고 먹는 일이 없도다.” 하였으니, 이를 두고 말한 것이다.

 

조변(趙抃)이 성도(成都)를 맡아 다스릴 때, 밤에는 반드시 의관을 갖추고 향을 피우며 낮에 한 일을 하늘에 고하였으며, 고할 수 없는 일은 감히 하지 않았다.

이는 군자가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공부의 진정한 길이다.

 

 

번역문 출처 : 한국고전번역원(이정섭 역, 1986), 다산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