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옛 뿌리

조선의 기생 12 - 황진이

從心所欲 2021. 6. 9. 14:01

기녀(妓女)는 기역(妓役)이 부과된 천인 여자들이다. 천민의 노비(奴婢) 중에서 뽑힌 자들이니 애초부터 신분상으로 대접을 받을 처지도 아니었고, 변방 무관의 살림을 돌보아주는 방직기나, 지방관아의 각종 행사와 사신 접대에 동원되는 관기로서의 역할도 사회적으로 존중받을만한 일은 아니었다. 게다가 수청이라는 명목으로 이 남자 저 남자와 몸을 섞을 수밖에 없었던 그들의 일상은 유교사회의 관점에서는 ‘상것 중에서도 천한’ 존재일 수밖에 없었다.

초기에는 ‘광대’ 창(倡)자를 써서 창기(倡妓)라고 불리던 호칭이 시간이 가면서 ‘몸 파는 여자’라는 뜻을 갖는 창(娼)자와 섞여 쓰이다가 나중에는 거의 창기(娼妓)로 굳어진 것만 보아도 기생에 대한 당시의 사회적 시각을 짐작할 수가 있다.

 

조선 중기의 실학자였던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 1622 ~ 1673)은 『반계수록(磻溪隨錄)』 에 지방의 창기여악의 실태에 대하여 이렇게 적었다.

 

【지금 음사한 창기(娼妓)를 길러 한 번 사객(使客)이 온다는 소식을 들으면, 반드시 이들이 얼굴에 화장을 하고 고운 옷을 입고 기다리게 하였다가, 도착하면 술상을 내어 이들로 하여금 돕게 하고 음악을 연주하여 돋우게 하니, 이를 방기(房妓)라 하며 공공연히 잠자리까지 하고 있다.】

 

그렇지만 기생은 매음을 전문으로 하는 유녀(遊女)와는 다르다. 《성종실록》 성종 18년 1월 5일 기사에 사간원의 정언(正言)인 성희증(成希曾)이 유녀를 엄금할 것을 왕에게 건의하며 유녀(遊女)를 이렇게 설명하였다.

"양인(良人)과 천인(賤人)의 여자들이 직산(稷山)의 홍경원(弘慶院) 등지의 원우(院宇)에 돌아다니다가 우거(寓居)하면서 행려(行旅)에게 선음(宣淫)하며 생활하는데, 세속(世俗)에서 유녀(遊女)라고 부릅니다.“

▶원우(院宇) : 관원이 공무로 다닐 때에 숙식을 제공하던 시설.
▶행려(行旅) : 나그네. 여행객.
▶선음(宣淫) : 공공연하게 음란한 행위를 함

 

유녀는 생계를 위하여 몸을 파는 여자들이다. 기생처럼 국가기관의 통제를 받지도 않으며 따로 적(籍)도 없는 사적인 존재다. 반면 기생은 국가기관에 속해있고 국가나 관에서 기생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교육을 받으며, 남자와 잠자리를 하더라도 대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기역(妓役)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감당하던 임무였다.

비록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유녀와 같은 기생이 나타나기도 하고 유녀가 기생 행세를 하기도 하였지만 유녀와 기생은 그 근본이 엄연히 다른 것이다.

 

옛 사람들은 기생을 가리켜 누구나 손만 뻗으면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드나무와 담장에 핀 꽃’이라는 노류장화(路柳墻花)라고 비하했다. 꽃을 꺾는 당사자들이 할 말은 아닌 듯싶다.

 

[전 김홍도 필 평안감사향연도(傳 金弘道 筆 平安監司饗宴圖) 中 부분, 국립중앙박물관 ㅣ 배를 타고 평안감사의 배를 뒤따르는 기생들]

 

우리는 흔히 황진(黃眞)이를 조선의 대표적인 기생으로 꼽는다. 하지만 황진이는 대표적 기생이 아니라 극히 예외적인 기생이었다. 조선의 기생으로 황진이만큼 명성을 얻고 대우를 받은 기생은 거의 없다. 그것은 황진이의 뛰어난 용모 때문일 수도 있고 그 위에 대부분의 기생들에게는 없는 뛰어난 재예(才藝)까지 겸비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음(漢陰) 이덕형은 「송도기이(松都奇異)」에,

나이 70에 가야금으로는 온 나라 안에 제일이었던 악공(樂工) 엄수(嚴守)가 처음 황진이를 보고는 “선녀로구나!” 하며 탄식하더니, 노랫소리를 듣고는 자기도 모르게 놀라 일어나며 “이것은 신선이 사는 곳의 여운(餘韻)이로다. 세상에 어찌 이런 곡조가 있으랴?” 하였다고 적었다. 또한 중국에서 온 사신이 길거리에서 황진이를 보고는 급히 말을 달려 객관에 도착하여서는 조선의 역관에게 “너희 나라에 천하절색이 있구나!”라고 하였다는 일화도 전했다.

아울러 개성부(開城府) 유수(留守)로 부임한 송순(宋純)이 처음 황진이를 봤을 때의 장면도 이렇게 기술하였다.

 

【진이는 용모와 재주가 뛰어나고 노래도 절창이었다. 사람들은 그녀를 선녀라고 불렀다. 개성유수 송공(宋公)이 처음 부임했을 때 마침 절일(節日)을 당하였다. 낭료(郎僚)들이 부아(府衙)에 조그만 잔치를 베풀었는데, 진랑이 와서 뵈었다. 그녀는 태도가 가냘프고 행동이 단아하였다. 송공은 풍류를 아는 사람으로 풍류장에서 늙은 사람이었다. 한 번 진이를 보자 범상치 않은 여자임을 알고 좌우를 돌아보면서 말하기를 “이름을 헛되이 얻지 않은 것이로군!” 하고 기꺼이 관대하였다. 송공의 첩도 역시 관서(關西)의 명물이었다. 문틈으로 그녀를 엿보다가 말하기를 “과연 절색이로군! 나의 일이 낭패로다”하고는 드디어 문을 박차고 크게 외치면서 머리를 풀고 발을 벗은 채 뛰쳐나온 것이 여러 번이었다. 여러 종들이 붙잡고 말렸으나 만류할 수가 없었으므로 송공은 놀라 일어나고 자리에 있던 손님들도 모두 물러갔다.】

 

글 속의 송공(宋公)은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 1493 ~ 1583)이다. 가야금을 잘 탔으며, 풍류를 알고 음률에 밝아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와 함께 조선의 계산풍류(溪山風流)를 풍성하게 만들었다고 일컬어지는 인물이다. 송순이 황진이를 처음 본 이때가 1547년이다.

이로 미루어 생몰년이 알려지지 않은 황진이의 출생 시기를 1520 ~ 1530년 사이로 어림짐작해 볼 수 있을 듯하다.

 

황진이의 본명은 황진(黃眞)이고 기생으로서의 이름은 명월(明月)이었다. 야사의 기록에서는 ‘진랑(眞娘)’으로 기록된 경우도 많다. 개성(開城) 출신으로. 황(黃)씨 성을 가진 진사(進士)의 서녀(庶女)로 태어났다는 설도 있고 맹인의 딸이었다는 설도 있다. 이에 대하여 황진이와 비교적 가까운 시대에 살았던 허균(許筠, 1569 ~ 1618)은 그가 남긴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에 이렇게 적었다.

 

【진랑(眞娘)은 개성 장님의 딸이다. 성품이 얽매이지 않아서 남자 같았다. 거문고를 잘 탔고 노래를 잘했다.

일찍이 산수(山水)를 유람하면서 풍악(楓岳)에서 태백산(太白山)과 지리산(知異山)을 지나 금성(錦城)에 오니, 고을 원이 절도사(節度使)와 함께 한창 잔치를 벌이는데, 풍악과 기생이 좌석에 가득하였다. 진랑은 해진 옷에다 때 묻은 얼굴로 바로 그 좌석에 끼어 앉아 태연스레 이[虱]를 잡으며 노래하고 거문고를 타되 조금도 부끄러운 기색이 없으니, 여러 기생이 기가 죽었다.

 

평생에 화담(花潭)의 사람됨을 사모하였다. 반드시 거문고와 술을 가지고 화담의 농막[墅]에 가서 한껏 즐긴 다음에 떠나갔다. 매양 말하기를,

“지족 선사(知足禪師)가 30년을 면벽(面壁)하여 수양했으나 내가 그의 지조를 꺾었다. 오직 화담 선생은 여러 해를 가깝게 지냈지만 끝내 관계하지 않았으니 참으로 성인이다.”

하였다. 죽을 무렵에 집사람에게 부탁하기를,

“출상(出喪)할 때에 제발 곡하지 말고 풍악을 잡혀서 인도하라.” 하였다.

지금까지도 노래하는 자들이 그가 지은 노래를 부르고 있으니 또한 특이한 인물이었다.

진랑이 일찍이 화담 서경덕에게 가서 아뢰기를,

“송도(松都)에 삼절(三絶)이 있습니다.”

하니 선생이,

“무엇인가?”

하자,

“박연폭포와 선생과 소인(小人)입니다.”

하니, 선생께서 웃었다. 이것이 비록 농담이기는 하나 또한 그럴듯한 말이었다.

 

대저 송도는 산수가 웅장하고 꾸불꾸불 돌아서 많은 인재가 나왔다. 화담의 이학(理學)은 국조(國朝)에서 제일이고, 석봉의 필법(筆法)은 해내외에 이름을 떨쳤으며, 근자에는 차씨(車氏) 부자와 형제가 또한 문명(文名)이 있다. 진랑도 또한 여자 중에 빼어났으니, 이것으로써 그의 말이 망령되지 않았음을 알 수가 있다.】

 

황진이에 대해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덧붙여진 이야기들이 많기 때문에 지금 전해지는 일화들의 허실을 가리기는 매우 어렵다. 그 대표적인 것이 ‘청산리 벽계수야...’라는 시조에 얽힌 일화다.

이능화(李能和)가 역대 기생들의 이야기를 적은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에는 이 일화가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황진이는 한때 이름을 떨쳤다. 종실(宗室)인 벽계수가 스스로 지조와 행실이 있다 하여 항상 말하기를 ‘사람들이 한 번 황진이를 보면 모두 현혹된다. 내가 만일 당하게 된다면 현혹되지 않을 뿐 아니라 반드시 쫓아버릴 것이다’라고 하였다.

진이가 이 말을 듣고 사람을 시켜 벽계수를 유인해왔다. 때는 늦가을이었다. 달밤에 만월대에 오르니 흥이 도도하게 일어났다. 진이가 문득 소복단장으로 나와 맞이하며 나귀의 고삐를 잡고 노래를 불렀다.】

 

이때 황진이가 불렀다는 노래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바로 그 시조였을 것이다.

 

“청산리(靑山裏) 벽계수(碧溪水)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一到 滄海) 허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명월(明月)이 만공산 허니 쉬어간들 어떠리.“

 

조선해어화의 다음 글이 그런 정황을 확인시켜 준다.

 

【명월은 자신의 자를 인용한 것이며, 수(守)는 수(水)로 대신했으니, 그 자리에서 보는 경치를 그대로 노래로 옮긴 것이다.

벽계수는 달 아래 한 송이 요염한 꽃을 대하고 또 그 목소리가 마치 꾀꼬리가 봄 수풀에서 지저귀고 봉황이 구소(九霄)에서 우는 것 같음을 들으니 저도 모르는 사이에 심취해서 나귀 등에서 내렸다.

진이가 말하기를 “왜 나를 쫓아내지 않으세요?” 하니, 벽계수가 크게 부끄러워하였다.】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는 황진이의 시대로부터 무려 400년이 흐른 1927년에 발간된 책이다. 따라서 이 이야기의 디테일이 얼마나 사실에 가까운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벽계수(碧溪守)는 세종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의 손자인 이종숙(李終叔, 1508년 ~ ?)을 가리킨다. 수(守)는 왕족에게 주어지는 종친부의 정4품 관직이다. 이종숙은 후에 정3품 도정(都正)으로 품계가 올라, 벽계도정(碧溪都正)이 되었다. 관찰사까지 지낸 왕족에게 일개 기생이 이런 부끄러움을 안길 수 있었던 것은 황진이의 명성이 그만큼 높았기에 가능했던 일이었을 것이다.

 

황진이의 명성을 듣고 큰소리를 친 인물은 벽계수 이종숙 뿐만이 아니었다. 조선 중종부터 명종 대에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 좌참찬 등을 역임한 소세양(蘇世讓)이라는 문신(文臣)이 있었다.

 

어느 날 소세양은 조선 최고의 기녀이자 시인으로 소문난 황진이의 소문을 들었다. 소세양은 황진이의 소문을 듣고 “여색에 혹함은 남자가 아니다. 듣건대 개성에 절색 진이가 있다 하나, 나 같으면 30일을 같이 살면 능히 헤어질 수 있으며, 추호도 미련을 갖지 않겠다.”라고 호언장담하였다. 이에 황진이는 개성에서 소세양과 교제를 맺고 30일 기한의 동거를 시작하였다.

30일이 지난 후 소세양이 황진이를 떠나려 하자, 황진이는 남루에 올라

“想中野菊黃 달 아래 뜰 가에는 오동잎이 다 지고, 서리 속 들국화만 노랗게 피었구나.

樓高天一尺 높은 누각 하늘과는 한 자 사이 맞닿았고,

人醉酒千觴 사람들은 일천 잔의 술에 취해 흥 돋운다.

流水和琴冷 유수는 거문고와 어우러져 싸늘하고,

梅花入笛香 매화 향기, 피리 소리 어우러져 풍겨 오네.

明朝相別後 내일 아침 서로 보며 이별한 그다음에는

情輿碧波長 깊은 정 흘러내려 푸른 물결 같으리라.“

라고 시조를 읊었다.

이에 소세양은 황진이의 시조를 듣고 “내 맹세한 대로, 사람이 아니라도 좋다.”라고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는 이후 소세양과 황진이는 서로의 애틋함을 잊지 못하고 오랜 기간 서로 편지를 주고받았다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조금 더 황당한 이야기도 있다. 조선 후기에 함경도와 황해도의 병마절도사를 지낸 무신(武臣)이었던 구수훈(具樹勳)이 지은 《이순록(二旬錄)》에는 이런 내용의 글이 있다.

 

【황진이는 자색이 뛰어났을 뿐만 아니라, 문예가 더욱 기이했다. 흔히 송악(松嶽)의 정기가 나뉘어 서화담과 황진이로 되었다고 말하는데, 진이가 기생으로 태어난 것은 애석한 일이다.

진이가 당시 3대 인물인 율곡(栗谷 李珥), 송강(松江 鄭澈), 서애(西厓 柳成龍)를 평하면서, 율곡은 진정한 성인이고, 송강은 군자이며, 서애는 소인이라고 했는데, 그 이유는 이러하다.

 

율곡이 중국 사신을 맞는 원접사가 되어 개성을 지나면서 진이를 불러 가까이하고 차와 식사도 함께 하면서 다정하게 대했다. 밤이 깊어지자 먼 길에 피곤이 심해 그러니, 가서 자고 내일 아침에 오라고 말하면서 돌려보냈다. 진이가 집에 가서 자고 아침에 다시 돌아와 보니 역시 어제같이 다정하게 대했고, 여러 날을 같이 지내면서도 끝내 흐트러지지 않았으니, 율곡은 진이의 몸을 좋아한 것이 아니라, 그 재능을 사랑했으니 정말 성인이라는 것이었다.

송강은 중국에 사신 가면서 역시 진이를 불러 분명하게 천침(薦枕)할 것을 명해 동침했고, 중국에서 돌아올 때도 또한 그렇게 사랑하고 즐거워했으니 이는 남자의 정상적인 처사로서 분명한 그 처분(處分)이 정말 군자에 해당 한다고 했다.

서애도 중국 사신 길에 역시 진이를 불러서 다정하게 대해, 천침을 명하는 줄 알고 있었는데, 밤이 되니 나가라고 명령하기에, 역시 훌륭하다고 생각하고 집으로 나갔다. 그런데 밤중에 부하를 보내 몰래 들어오라 해 동침하고는 새벽에 일찍 나가라고 했다. 이 일은 명쾌하지 못한 처사이므로, 서애는 소인이라는 평가였다.】

▶천침(薦枕) : 첩이나 기생, 시녀(侍女) 따위의 여자가 윗사람을 모시고 잠자리를 같이 하는 것.

 

이 이야기는 허실을 따지기 이전에 자작나무 타는 냄새가 난다. 남인인 서애 유성룡을 비하하려는 의도에서 서인 쪽에서 지어냈을 것 같은 이야기다. 어쨌거나 조선의 내로라하는 인물들을 황진이와의 일화로 엮어 평가하려 할 만큼 그 명성이 높았다는 증거이기는 하다. 실제로 조선시대에 황진이만큼 명성을 얻고 사대부들로부터 대우받은 기생은 황진이 외에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황진이는 단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 및 인용 : 조선왕조실록,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원형백과(2005.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고전용어사전(2001. 세종대왕기념사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