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옛 그림

정조의 현륭원 행차 - 화성능행도 1

從心所欲 2021. 9. 24. 16:01

정조가 1795년에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화성에 행차하여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묘인 현륭원(顯隆園)에 들리고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축하하는 연회를 열었던 일은 익히 잘 알려진 일이다.

 

정조는 1795년 윤2월 9일 이른 아침에 1800명에 가까운 배종(陪從) 인원과 함께 창덕궁을 떠나 화성으로 출발하였고, 첫날은 시흥행궁에서 묵은 뒤 이튿날 저녁에 화성행궁에 도착하였다. 정조는 화성에 머무르는 동안 향교를 참배하고 별시(別試)를 거행했으며, 현륭원에서 제사하고, 군사훈련을 지휘한 뒤 어머니를 위한 회갑연을 베풀고 15일 화성을 떠나 16일에 다시 창덕궁으로 돌아왔다. 이 8일간의 행차는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었다. 의궤의 글은 금속활자로 인쇄되었고, 주요 예식의 장면들은 목판화(木版畵)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이 의궤와는 별도로 당시 규장각(奎章閣) 차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으로서 당대 최고의 기량을 지닌 일급 화원들인 최득현, 김득신, 이명규, 장한종, 윤석근, 허식, 이인문 등이 8일 간의 주요행사를 그림으로 그려 8폭 병풍을 만들어 혜경궁 홍씨에게 바쳤다. 이에 혜경궁 홍씨는 화원들에게 포상을 내렸다고 한다. 예식 자체에만 초점을 맞춘 의궤의 그림들과는 달리 병풍 그림들은 행사장 주변 풍경과 백성들의 모습까지 담고 있어 풍속적 요소도 가미되었다. 그런 까닭에 지금 《화성능행도(華城陵幸圖)》로 불려지는 이 병풍은 기록화의 백미라는 평을 듣고 있다.

 

전하는 《화성능행도(華城陵幸圖)》 병풍은 국립중앙박물관외에도 국립고궁박물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삼성미술관 리움에서도 소장하고 있어 당시에 혜경궁 홍씨에게 헌상한 것 외에도 여러 벌의 병풍이 제작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소장처에 따라 《화성행행도(華城行幸圖)》로 불려지기도 한다.

 

정조의 화성에서의 첫 번째 행사는 공자의 위패(位牌)를 모신 사당(祠堂)에 참배하는 것이었다. 고전적 표현으로는 문선왕묘(文宣王廟)에서 알성의(謁聖儀)를 행한 것이다. 문묘(文廟), 성묘(聖廟), 문선왕묘(文宣王廟)는 모두 공자의 사당을 일컫는 말이고, 알성의(謁聖儀)는 임금이 문묘의 공자 신위에 참배하는 의식이다.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中 <알성도(謁聖圖)>, 24.1 x 16.8cm,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같은 행사를 그린 《화성능행도(華城陵幸圖)》 병풍의 제1폭은 <화성성묘전배도(華城聖廟展拜圖)>라 불린다. 화성성묘는 화성 향교에 있는 공자의 사당을 가리키고, 전배(展拜)는 임금이 참배하는 것을 뜻한다.

 

[《화성능행도(華城陵幸圖)》 8폭 병풍 中 제1폭 <화성성묘전배도(華城聖廟展拜圖)>, 견본채색, 151.5 x 66.4cm, 국립중앙박물관]

 

정조는 음력 윤2월 11일 오전 5시 ~ 7시 사이인 묘시(卯時)에 화성향교로 출발하였다. 팔달산 남쪽 기슭의 향교 문밖에 이르러서는 말에서 내려 뚜껑이 없는 가마인 여(輿)를 타고 명륜당(明倫堂)에 들어갔다. 이때 반열에 참여하는 유생(儒生)들도 어가를 따라 입장하였다. 정조는 명륜당 안에 미리 설치해둔 대차(大次)에서 왕의 제례 때 입는 관복인 면복(冕服)으로 갈아입었다. 백관들은 어가를 따를 때의 복색인 융복 차림으로 성묘(聖廟)의 문밖에서 반열을 이루어 정렬하였다.

화성 향교의 대성전에는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주희(朱熹)를 포함한 21명의 중국 성현과 설총(薛聰)에서 박세채(朴世采)에 이르는 15명의 우리나라 유학자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었다. 정조는 규(圭)를 들고 동쪽 협문으로 들어가 동쪽 계단을 따라 올라간 뒤 대성전(大成殿) 앞 기둥의 동쪽에 설치한 판위에서 서쪽을 향해서 선 다음 네 번 절하는 예를 거행하였다.

 

[대성전 앞에서의 절하는 의식]

 

[유생들은 성묘(聖廟) 안에 들어가 있고, 백관들은 명륜당과 성묘 사이에 정렬해 있다.]

 

[향교 밖에서 대기중인 인마]

 

[향교 대문 앞에 찰주(札駐)한 군사들 밖에서 구경하는 백성들. 오른쪽 풍경]

 

[왼쪽 풍경]

 

 

참고 및 인용 : 국립중앙박물관, 문화원형백과(2002,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한국학중앙연구원)

'우리 옛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조의 현륭원 행차 - 화성능행도 3  (0) 2021.09.26
정조의 현륭원 행차 - 화성능행도 2  (0) 2021.09.25
환유첩(宦遊帖) 4  (0) 2021.09.13
환유첩(宦遊帖) 3  (0) 2021.09.12
환유첩(宦遊帖) 2  (0) 2021.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