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선조들

허균 44 - 한정록(閑情錄) 치농(治農) 2

從心所欲 2021. 11. 20. 09:13
「한정록(閑情錄)」은 허균이 중국 서적에 나오는 ‘은거(隱居)’에 대한 글들을 16가지 주제로 나누어 정리한 글이다. 섭생(攝生)은 16번째 마지막 주제로 허균은 그 의미를 이렇게 풀이했다.

“사농공상(士農工商) 사민(四民)의 생업 중에서 농업(農業)이 근본으로 한거자(閑居者)가 해야 할 사업(事業)이다. 그러므로 제16 ‘치농(治農)’으로 한다.”

 

누에를 치는 일[養蠶]

대저 누에를 치는 법은 종자를 선택하는 데서 비롯된다. 견종(繭種)을 섭[蔟] 가운데 환한 쪽에 가서 맑고 두껍고 견실한 것을 취하되, 고치가 단단하고 섬세하고 조그마한 것은 바로 웅견(雄繭)이요, 둥글고 크고 두꺼운 것은 자견(雌繭)인데, 이들을 골라서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방(房) 안의 깨끗한 잠박(蠶箔) 위에 펼쳐 둔다. 그래서 일수(日數)가 차면 나비[蛾]가 저절로 나오는데, 맨 첫날에 나온 것은 묘아(苗蛾)이고 맨 나중에 나온 것은 본아(本蛾)이다. 그 가운데 만일 죽지가 굽었거나, 눈썹이 민둥하거나, 다리가 검게 탔거나, 눈썹이 검게 탔거나, 누렇게 떴거나, 색깔이 붉거나, 털이 없거나, 무늬가 검거나, 몸통이 검거나, 머리가 검거나 한 것이 있으면 이는 모두 묘아(苗蛾)며 말아(末蛾)이니, 다 쓸 수 없는 것이다.

다음날 이후에 나온 것들은, 잠박(蠶箔) 위에 연(連 종이를 가리킨 듯함)을 깔고 그 위에 나비의 자웅(雌雄)을 서로 교미하도록 두었다가, 저물녘에 이르러 웅아(雄蛾)는 내버리고, 자아(雌蛾)만 연(連) 위에 골고루 놓아 두되, 그들이 낳은 알이 한데 뭉쳐서 쌓여 있는 것은 모두 쓰지 못한다. 나비가 알을 어느 정도 낳았을 때는 다시 연 위에 그대로 두고 기르되, 3일 내지 5일 정도를 반드시 서늘한 곳에 달아 놓아서 연기나 햇빛이 들지 않도록 한다. 높이 달아 놓을 때 누에씨가 밖을 향하게 되면 혹 그 누에씨가 바람을 맞을 염려가 있다.

동절(冬節) 및 섣달 8일에 목욕을 시킬 때는 뽕나무나 혹은 볏짚재[稻草灰]의 즙(汁)에다 잠련(蠶連 누에씨가 붙어 있는 종이)을 담근다. 목욕을 시키는 데는 설수(雪水 눈 녹은 물)가 가장 좋으나, 물이 너무 얼지 않도록 해야 한다. 물에 담근 지 3일 만에 꺼내어 다시 높은 데 걸어 놓았다가 설이 지난 뒤에는 단지[甕] 안에다 잠련(蠶連)을 넣어 반드시 빛이 영롱(玲瓏)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매양 10여 일째마다 한낮에 한 번씩 꺼내서 바람을 쏘이며, 매양 구름이 끼고 비가 온 뒤에는 즉시 햇볕에 바짝 쬐어 말려야 한다. 누에씨의 색깔이 변하는 것은 반드시 느리게 변하거나 빠르게 변하는 것이 제 기능에 달려 있으니, 손상을 시켜가면서 억지로 변하도록 하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뽕잎이 났을 때에는 진시(辰時)와 사시(巳時) 사이에 단지 안에서 잠련을 꺼내어 누에씨를 이리저리 골고루 펼치되 적당하게 해야 한다. 다만 반드시 제1일에는 3분(分)이 변하고 제2일에는 7분이 변하는데, 이렇게 되면 문득 종이에 풀[糊]을 칠하여 잘 봉해서 다시 단지 안에 수장(收藏)했다가, 제3일 오시(午時)에 이르러 다시 잠련을 꺼내어 펼쳐보았을 때는 반드시 10분이 다 변했어야 한다.

그 잠실(蠶室)ㆍ화창(火倉)ㆍ잠박(蠶箔) 따위는 반드시 미리 준비해 놓아야 한다. 누에가 나올 때는 마땅히 창호(窓戶)를 환하게 해야 하며, 누에가 자고 일어났을 때도 역시 그대로 문창을 환하게 하여 밝도록 한다. 그리고 밑의 땅쪽에는 바람구멍을 여기저기 터놓아서 열고 닫고 하여 습울(濕鬱)한 기운을 제거하도록 한다. 만일 새 진흙으로 벽(壁)을 발라 벽이 축축할 경우에는 불을 때서 바짝 건조시키며, 문창에는 백지(白紙)를 사용하되 새로 말끔히 창을 바르고 창마다 각기 갈대주렴[葦簾]을 준비한다.

누에가 막 나왔을 때는 닭털[鷄毛] 등의 물건으로 쓸어 모으되 누에가 놀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조밀하거나 겹쳐 있는 누에를 가지런히 눕힌 다음 뽕잎을 따다가 가슴 속에 부착시켜 따뜻하게 한 뒤에 칼로 잘게 썰어서 그릇 가운데 종이를 놓고 그 위에다 가는 체로 쳐서 잠련(蠶連)을 뽕잎 무더기에 맞대어 준다. 그러면 누에가 뽕잎의 향기를 맡고 스스로 내려오는데, 혹 내려올 때가 지나도 연(連)에서 내려오지 않거나 오히려 연 등쪽으로 올라가는 놈은 모두 내버린다.

어린 누에를 기를 때에는 먼저 방(房) 한 칸을 비우고 그 방 네 귀퉁이에 공감(空龕)을 쌓아 놓아서 화기(火氣)를 고르게 하고, 누에가 잠들기를 전후해서는 그를 걷어 버리고서 날을 가려 잠박에 안치한다. 잠박에 안치한 후에는 그 위아래로 빈 잠박 2개를 꽂아 놓아서, 위의 것은 먼지를 받고 아래에 있는 것은 습기를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패초(稗草)를 가늘게 썰어 위아래의 두 빈 잠박에 깔아 놓아서 누에를 나누어 누이는 데에 대비하는데, 그 패초를 가늘게 썰어 부드럽게 만들어서 잠박에 깔아 푹신한 요를 만들고 다시 깨끗한 종이를 그 요 위에 붙여서 누에를 안치한다.

누에가 막 나왔을 때는 색깔이 검다가 점점 뽕잎을 더 먹어서 제3일 사시(巳時)ㆍ오시(午時)에 이르면 마치 작은 바둑알만해지는데, 이 누에를 잠박 가운데 펴놓으면 점점 뽕잎을 먹는 것을 벽흑(擘黑)이라고 하며, 또는 분의(分蟻)라고도 한다. 누에가 하얀색으로 변하면 이것이 향식(向食)이니 이때는 뽕잎을 조금 더 두껍게 주어야 하고, 청색(靑色)으로 변하면 이것이 지식(止食)이니 이때는 뽕잎을 더욱더 두껍게 주어야 하고, 다시 하얀색으로 변하면 이것은 만식(慢食)이니 이때는 뽕잎을 조금 감해 주어야 하고, 황색(黃色)으로 변하면 이것은 단식(短食)이니 이때는 뽕잎을 더욱더 감해 주어야 하고, 순황색으로 변하면 이것은 정식(停食)인데 이를 정면(正眠)이라 한다. 잠자고 일어난 다음 누른색으로부터 희어지고 흰색으로부터 퍼래지고 푸른색으로부터 다시 희어지고 또 누래지면 또 한 잠을을 자게 된다. 매양 잠잘 때면 이와 같이 조절하여 뽕잎을 가감해 준다.

무릇 뽕잎을 밖에 드러내서는 안 된다. 만일 바람과 햇볕에 말라진 뽕잎을 먹으면 병이 난다. 항상 3일 동안 먹일 뽕잎을 미리 따서 장마에 대비한다면 누에가 물 묻은 뽕잎을 먹게 되지 않을 것이요, 또한 굶주리는 일이 없을 것이다. 뽕잎을 따 가지고 집에 돌아와서는 반드시 방 안에 꺼내어 통풍을 시켜서 열기(熱氣)를 식힌 다음에 누에를 먹인다.

주야(晝夜)의 사이도 대강 사시(四時 춘ㆍ하ㆍ추ㆍ동)로 나눌 수 있는데, 아침과 저녁은 마치 봄ㆍ가을과 같고, 한낮[正晝]은 여름과 같고, 한밤중은 겨울과 같아서 춥고 더운 것이 일정하지 않으니, 잠실(蠶室)에 보온을 하되 온도의 다소(多少)를 짐작해서 때에 따라 할 것이요, 일정하게 해서는 안 된다.

누에가 처음 나서부터 두 잠을 잘 때까지는 반드시 아주 따습게 해주어야 한다. 잠모(蠶母 누에를 치는 부녀자)는 반드시 홑옷[單衣]을 입고 지내면서 자신이 추위를 느끼게 되면 누에도 추울 것이니 문득 실내의 온도를 더 높여주고, 자신이 덥다고 느껴지면 누에도 더울 것이니 문득 실내의 온도를 내려준다.

누에가 한 번 잠을 자고 일어나면 다만 천기(天氣)가 청명한 날 사시(巳時)ㆍ오시(午時) 사이에 잠시 창문의 주렴을 걷어서 통풍을 시키되, 남풍(南風)이 불면 북쪽 창문을 걷어올리고 북풍(北風)이 불면 남쪽 창문을 걷어올려서 통풍을 시켜주면 누에가 상하지 않는다.

누에가 마지막 잠을 자고 일어난 뒤에 세 밥을 먹고 나면 창지(窓紙)를 뚫어서 통풍을 시켜주되, 반드시 깜짝 놀라서 병이 나게 하지 않아야 한다. 마지막 잠을 자고 일어난 뒤에는 주렴을 걷어올리고 창지(窓紙)도 떼어버리되, 날씨가 매우 더우면 문앞에 항아리를 놓고 거기에 새 물[新水]을 떠다 부어서 서늘한 기운이 나돌게 하고, 만일 비바람이 쳐서 밤이 서늘하면 빨리 주렴을 내려야 한다.

누에가 자라서 불어나면 잠박을 나누어서 번잡함을 덜어주고, 너무 두껍게 뉘어졌으면 갈라 눕힌다. 누에는 유연(柔軟)한 물건이기에 저절로 잘 서로 비비대고 부딪치므로, 어렸을 때도 자주 갈라 뉘어서 사람이 애호(愛護)할 줄을 알아야 하고, 커서도 늘 갈라 뉘어야 한다. 만일 사람이 그를 애호할 줄을 몰라서 오랫동안 어지러이 쌓이도록 내버려두면 끝내는 누에를 멀리 던져버리는 꼴이 된다. 누에가 손상되거나 병이 생기는 것이 흔히 여기에서 비롯된다.

누에가 마지막 잠을 자고 난 뒤 15~16차례 밥을 먹고 나면 곧 늙는데, 고치실을 많이 얻고 적게 얻는 것이 오로지 이 누에의 밥 먹는 수(數)에 달려 있다. 북쪽 지방 누에는 흔히 세 잠만 자는데, 남쪽 지방 누에는 모두가 네 잠을 잔다. 날마다 익은 누에가 있는 것을 보아서 분수(分數)를 헤아려 밥 주는 것을 감하되, 누에 10마리에 익은 누에가 9마리쯤 되어야 바야흐로 섶에 올릴 수 있다.

또 하잠(夏蠶)과 추잠(秋蠶)이 있는데 이를 만잠(晩蠶)이라 이름한다. 하잠은 애기누에 시절부터 늙을 때까지 계속 서늘하게 해주어야 하는데 오직 모기나 파리가 걱정거리이니 반드시 장막[帳]을 쳐서 호위해야 한다. 추잠은 처음에는 서늘하게 해주어야 하나 점점 따습게 해주어야 하는데, 그 방법은 모두 앞의 누에와 같다.

하잠은 고치실을 켜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오직 면광(綿纊 솜)을 만들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하잠은 많이 기르는 것은 좋지 않으며, 혹 기르더라도 벽흑(擘黑)이 된 뒤에는 모름지기 날마다 이른 아침에 한 번씩 똥을 가려 눕혀야 하는데, 그 똥은 또한 약(藥)으로 쓸 수 있다.

무릇 누에고치는 마땅히 서늘한 곳을 가려서 얇게 펼쳐 두어야만 나비가 저절로 더디 나오기 때문에 실을 켜기에 바쁘지 않다. 만일 그리 못하면 단지[甕]에 고치를 넣고 쪄서 나비를 죽이는 방법이 있다. 실을 켜는 비결은 오직 가늘면서 둥글고 고르고 단단하게 하며 굵은 마디가 생겨서 구르지 못한 것이 없도록 하는 데에 있다.

고치실을 켜는 데는 열부(熱釜)를 사용하거나 냉부(冷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모두 반드시 자새와 물레가 있어야만 쓸 수가 있다. 가마솥은 반드시 커야 하는데 가마솥 위에 큰 시루를 얹고 그 시루 안에 가득히 물을 부은 다음, 그 시루 한 중간에 나무 하나를 가로질러 놓으면 두 사람이 양쪽에 마주 앉아서 실을 켤 수 있다. 물은 반드시 항상 끓어야 하며, 금방금방 고치를 물에 넣는데 너무 많이 넣으면 고치가 미처 삶아지지 못하니, 덜어내는 것이 좋다. 추사(麤絲 굵은 실)로서 단작(單繳)일 경우에는 쌍작(雙繳)으로 하는 것도 좋으나, 다만 정결하고 빛이 영롱한 냉분(冷盆)으로 켠 실만은 못하다.

냉분은 반드시 커야 하는데 먼저 솥 외부에 진흙을 바르고 실을 켤 때에는 물을 9분(分)쯤 붓는다. 물은 따스한 기운이 오래도록 지탱하게 할 것이요, 금방 더웠다가 금방 식게 하지 말아야만 한다. 여기에 전작(全繳)으로 세사(細絲 가는 실)를 켤 수 있는데, 중등(中等)의 고치일 경우는 쌍작(雙繳)을 켤 수 있다. 열부(熱釜)에 비하여 훨씬 정신을 써야 하고, 또 실이 튼튼하다.

누에를 기르다가 뽕잎이 모자랄 때에는 감초(甘草)의 즙(汁)을 나뭇잎에 뿌리고 그 다음 쌀가루를 거기에 발라서 말린 뒤에 누에를 먹이면 하룻밤을 지낼 수 있으니, 이를 제잠(齊蠶)이라 한다. 제잠(齊蠶)

 

◯ 십체(十體)

한(寒)ㆍ열(熱)ㆍ기(飢)ㆍ포(飽)ㆍ희(稀)ㆍ밀(密)ㆍ면(眠)ㆍ기(起)ㆍ긴(緊)ㆍ만(慢)인데, 이는 먹일 때를 말한 것이다.

 

◯ 이광(二光)

흰빛이 나면 먹을 것을 찾는 때이고, 푸른빛이 날 때는 많이 먹여야 한다. 누에의 가죽이 쭈그러드는 것은 주려서 그런 것인데, 누른빛이 날 때는 점차로 먹이를 중지시킨다.

 

◯ 여덟 가지 마땅한 것[八宜]

누에가 막 잠을 자려 할 때는 어둡게 해주어야 하고, 잠을 자고 일어난 뒤에는 밝게 해주어야 하며, 누에가 모두 잠에 들어갈 때는 따습게 해주어야 하고 어둡게 해주어야 하며, 누에가 모두 잠에서 깨어날 때는 밝게 해주어야 하고 서늘하게 해주어야 한다. 누에가 뽕을 먹을 때에는 통풍을 시켜 주어야 하고 뽕잎을 더 주어야 하며, 누에가 긴장할 때나 잠에서 막 일어날 때는 바람이 두려우니, 얇은 뽕잎을 천천히 먹여야 한다.

 

◯ 잠을 재우고 뽕을 먹이는 데에 마땅함을 잃은 것[眠飼失宜]

누에가 잠에서 막 깨어났을 때 연기를 마시면 즉시 검어지면서 죽는 것이 많고, 서늘한 이슬이 젖은 뽕잎을 먹으면 반드시 백강(白殭 하얗게 말라 죽는 누에)이 되며, 따놓은 지 오래되어 마르고 열기가 있는 뽕잎을 먹으면 배[腹]가 뭉치거나 머리가 커지거나 꼬리가 뾰족해지고, 창문을 갑자기 열어 쏜살같이 들어오는 바람을 마시면 반드시 홍강(紅殭 빨갛게 말라 죽는 누에)이 많이 나오게 된다. 매양 똥을 가린 뒤에는 누에를 마땅히 드물게 눕혀야 한다. 누에가 조밀하면, 강한 놈은 뽕잎을 얻어먹지만 약한 놈은 뽕잎을 얻어먹지 못하고 반드시 잠박 가로 나가서 쏘다니기만 한다. 그러나 누에를 펼쳐서 골라 눕히는 데 있어 함부로 손으로 높은 데서 밑으로 끌어내리거나 해서는 안 된다. 이렇게 하면 서로 부딪쳐서 좋지 않게 되는데, 반드시 노잠(老蠶)이나 적강(赤殭 붉게 말라 죽는 것)은 이 때문에 된 것이다. 백강(白殭)은 거두어 두면 약용(藥用)에 대비할 수 있다.

 

◯ 세 가지 드물어야 할 것[三稀]

누에가 알 속에서 막 나왔을 때와 잠박(蠶箔)에 올릴 때, 그리고 섶에 올릴 때이다.

 

◯ 다섯 가지 넓어야 할 것[五廣]

첫째는 사람, 둘째는 집[屋], 셋째는 상전(桑田), 넷째는 잠박(蠶箔), 다섯째는 섶이다.

 

◯ 여러 가지 금기[雜忌]

물에 젖은 뽕잎이나 열기 있는 뽕잎을 꺼리고, 쨍쨍 비치는 햇볕을 꺼리며, 햇볕 쬐며 바람 맞는 것을 꺼린다. 누에가 막 나왔을 때 집안에 먼지 쓸어내는 것을 꺼리고, 어육(魚肉)을 굽거나 볶는 것을 꺼리며, 잠실(蠶室) 안에서 부르짖고 곡읍(哭泣)하는 것을 꺼린다. 그리고 달수가 아직 차지 않은 산부(産婦)는 누에를 기르지 말아야 한다. 술을 휴대하고 뽕잎을 썰어서 누에를 먹이거나, 누에똥을 가려서 나누어 뉘거나 하는 것을 꺼리며, 누에는 날 때부터 늙을 때까지 연기를 꺼린다. 그리고 또 효자(孝子 상제(喪制)를 말함)나 정결(淨潔)하지 못한 사람이 방에 들어오는 것을 꺼리고, 더러운 냄새를 가까이하는 것을 꺼리며, 술이나 초[醋], 또는 다섯 가지 훈채(葷菜)와 사향(麝香) 등의 물건을 꺼린다.

 

● 소를 기름[養牛]

소는 농사(農事)를 짓는 데 있어서 절실히 필요한 존재이므로, 가축(家畜)을 잘 기르는 사람은 반드시 소를 애지중지하는 마음이 있다. 그의 혈기(血氣)는 사람과 똑같은 것이니 너무 춥거나 덥게 하지 말고 그의 성정(性情)도 사람과 똑같은 것이니 너무 과로를 시키지 말며, 서늘하고 따스함을 정도에 맞게 해주고, 주리고 배부른 것을 때에 맞추어 해주고, 성정(性情)을 맞추어 주고, 일하고 쉬는 것을 절도에 맞추어 주고, 혈기(血氣)를 잘 길러 주어야 한다. 만일 그렇게만 한다면 피모(皮毛)가 윤택(潤澤)해지고 몸에 살이 많이 쪄서, 힘이 넉넉하여 늙어도 쇠하지 않을 것이니, 어찌 고단해서 파리하게 말라지는 폐단이 있겠는가.

이른 봄에는 반드시 우리[牢欄] 안에 두껍게 쌓여 있는 똥무더기를 쳐내고, 이로부터 계속 10일에 한 번씩 똥무더기를 제거해서 더러운 기운이 답답하게 꽉 차는 것을 없애주어야 한다. 그리고 쇠발굽이 똥무더기에 잠기면 병(病)이 나기 쉬우니, 수시로 깨끗하지 못한 것을 제거해야 하는데, 깨끗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구초(舊草)는 다 말라져 없어지고 새풀[新草]이 아직 나기 전에는 마땅히 정결한 볏짚[稻藁]을 가늘게 썰고 거기에 밀기울이나 겨ㆍ콩 등을 섞어서 약간 물기가 있게 하여 구유[槽]에 담아서 배불리 먹인다. 봄ㆍ가을에 풀이 무성할 때는 방목(放牧)하되, 물을 먹인 뒤에 풀을 주면 배[腹]가 거북하지 않게 된다. 날씨가 음음하고 눈보라치는 엄동설한의 겨울철에는 소를 즉시 따스한 곳에 두고 죽[糜粥]을 끓여 먹여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미리 콩잎 등을 거두어 가늘게 부수어서 저장해 두어야 한다. 쌀뜨물에다 잘게 썰어 놓은 풀이나 겨ㆍ밀기울 등을 섞어서 먹이고 또 혹은 면병(棉餠)을 먹이기도 하는데, 이것이 이른바 ‘주리고 배부른 것을 때에 맞추어서 그의 성정에 맞게 한다.’는 것이다.

매양 경작(耕作)하는 계절을 만날 때마다 낮에는 놓아먹이고 밤에는 다시 배불리 먹인 다음 5경(更) 초에 이르러 해가 아직 뜨기 전의 서늘한 때를 타서 부린다면, 힘이 평소보다 배나 나서 한나절만 일을 해도 하룻동안 한 일보다 많을 것이다. 햇살이 높이 올라와 더워서 헐떡거리게 되면 휴식을 시켜주고, 힘을 다 빼서 지치도록 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은 남쪽 지방의 주경(晝耕)하는 방법이다. 만일 지방(地方)이 평원(平遠)한 육지(陸地)일 경우에는, 소를 부리되 모두 밤이면 밭을 갈아서 한낮의 뙤약볕을 피하고, 밤중에는 또 꼴이며 콩을 먹여서 힘을 보강해 주며, 다음날 다시 밭갈기를 마치면 즉시 놓아서 쉬게 하니, 이것이 이른바 ‘그 일하고 쉬는 것을 절도 있게 하여 혈기(血氣)를 기른다.’는 것이다.

만일 먹이가 족히 그 주린 배를 채우지 못하고 음료수가 족히 그 갈증을 해소하지 못한데다가 추위에 얼리고 뙤약볕에 쬐며, 힘이 지치게 하여 몸이 파리하게 되고 끝없이 부려서 수고롭게 하며, 거기다가 매질까지 한다면 죽게 되는 소가 태반이나 될 것이다. 주리면 먹으려 하고 목마르면 물을 마시려 하는 것은 물(物)의 정(情)이다. 그런데 심지어는 매우 지치도록 부려서 숨을 헐떡거리고 땀을 뻘뻘 흘리게 하며 밭 갈던 소를 먹이를 찾아 혹 산(山)에 놓아 두기도 하고 혹은 물로 내쫓기도 하는데, 그래서 소가 물만 마시고 나면 문득 창자가 텅텅 빈데다 먹이를 먹지 못해서 질병이 생기게 된다. 소를 높은 산에 놓아 두었을 경우, 근력(筋力)이 지칠 대로 지쳐서 넘어져 있는 것을 이따금 볼 수 있다. 그의 힘을 이용하면서 그의 생명을 이렇게 손상시키니, 소를 사랑하여 기르는 방도를 어떻게 안다고 하겠는가.

소의 병은 일정하지 않은데 약(藥)을 쓰는 데 있어서는 사람과 서로 비슷하다. 다만 약을 지을 때 양(量)을 많게 하여 조제해서 먹이면 낫지 않는 병이 없다.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은 열(熱)을 받아서 생긴 병이니 혈약(血藥)으로 다스린다. 냉(冷)이 뭉치면 콧물이 마르고 헐떡거리지 않으니 발산(發散)시키는 약을 투여하고, 열(熱)이 뭉치면 콧물이 흐르고 헐떡거리니 하리(下痢)시키는 약을 투여한다. 이는 혹 우역(牛疫)이 유행할 때 흔히 훈김이 서로 전염되어서 그런 것이니, 다른 소가 있는 곳에 가는 것을 피하고 나쁜 기운을 제거하면서 약을 쓰면 혹 살릴 수도 있다.

소를 상보는 법은, 눈이 반드시 뿔과 가까운 것이 좋고 눈은 커야 하며, 눈 가운데 백맥(白脈)이 동자(瞳子)를 꿰어 있거나, 경골(脛骨)이 장대(長大)하고 후각(後脚)이 넓으면 모두 부리기에 좋다. 털은 아주 빽빽해야 하니, 털이 성글고 길면 반드시 추위를 견디지 못한다. 뿔은 가늘고 몸집은 굵으며 꼬리끝이 길고 크면 길(吉)하고, 꼬리끝에 어지러이 헝클어진 터럭이 꼬불꼬불하게 말린 것은 명(命)이 짧은 것이다. 어미소가 터럭이 희고 젖꼭지가 붉으면 새끼를 많이 낳는데, 하룻밤에 똥을 세 무더기를 누는 놈은 1년에 새끼 한 마리씩을 낳는다. 젖꼭지가 성글면서 검으면 어떻게 새끼를 낳겠는가.

 

◯ 소를 치료하는 데 있어 급히 쓰는 단방약[醫治急用單方]

우장(牛瘴) : 안식향(安息香)을 외양간에 태워준다.

소기침[牛噎] : 조각(皁角) 가루를 콧구멍에 불어 넣어주고 짚신 밑창[鞋底]으로 쇠꼬리 부분의 정골(停骨) 밑을 두드려 준다.

개라(疥癩) : 교맥(蕎麥) 짚[穰]을 태운 잿물로 씻어준다. 말[馬]도 이와 같이 한다.

난견(爛肩 어깨가 문드러짐) : 묵은 솜[舊絮] 3냥(兩)을 적당히 태워서 거기에 참기름을 타서 발라주면 3일 만에 곧 낫는다.

누제(漏蹄 쇠발굽 사이가 무는 것) : 붉은 광석(礦石) 가루를 돼지 기름에 섞어서 물은 발굽 사이에 메꾸고 따라서 쇠에 불을 달구어 지진다.

상열(傷熱) : 참깨 잎을 찧어서 즙(汁)을 내어 먹이면 당장에 낫는다.

해소(咳嗽) : 소금 1냥(兩)에 된장 1승(升)을 타서 먹인다.

요혈(尿血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 당귀(當歸)와 홍화(紅花)를 세말(細末)하여 술에 담가서 한 주발씩 먹인다.

몸에서 벌레가 생김 : 당귀(當歸)를 잘 찧어 초[醋]에 담가서 하룻밤을 먹인다.

쇠꼬리가 타고 수초(水草)를 먹지 않을 때[牛尾焦不食] : 대황(大黃)ㆍ백지(百芷)ㆍ황련(黃連) 각 반 냥(兩)씩을 가루로 만들어 계란(鷄卵) 한 개의 흰자위를 술에 타서 섞어 먹이면 당장에 효험이 있다.

소가 갑자기 배[腹]가 창만(脹滿)하여 미친 듯이 날뛰면서 사람을 들이받을 때 : 대황(大黃)ㆍ황련(黃連) 각 5전(錢)을 계란 한 개의 흰자위와 술 한 주발에 골고루 타서 먹인다.

소가 잡충(雜蟲)을 먹고 배가 창만할 때 : 제비 똥 1홉(合)을 물에 타서 먹인다.

소의 눈에 백막(白膜)이 생겨 눈을 가림 : 소금과 대마디[竹節]를 적당히 태운 다음 부드럽게 갈아서 1전(錢)을 백막(白膜) 위에 찍어 바른다.

 

● 양계(養鷄)

닭의 종자는, 뽕잎이 떨어질 무렵에 난 놈이 아주 좋고, 봄이나 여름철에 난 놈은 좋지 않다. 봄이나 여름철에 깬 병아리는 30일 이내에는 둥지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먹이는 마른 밥을 먹여야지 만일 젖은 밥을 먹이면 배꼽[臍]에서 농(膿)이 생기게 된다.

닭의 홰를 만들 때는 복숭아나무나 오얏나무를 써서는 안 된다. 홰를 안치하는 데 있어서는 사극(四極)과 중성(中星)이 해당한 곳에 안치해야 하는데, 자(子)ㆍ오(午)ㆍ묘(卯)ㆍ유(酉)의 방위가 곧 사극(四極)이고 갑(甲)ㆍ병(丙)ㆍ경(庚)ㆍ임(壬)의 방위가 곧 중성(中星)이니, 마땅히 그곳에 닭의 우리를 안치해야 한다. 그러면 비록 닭소리는 유창하게 들리지 않을지라도 안온(安穩)하여 닭이 살찌고, 또는 여우나 살쾡이 등에게 잡아먹힐 걱정이 없다. 만일 버드나무를 태우면 작은 닭은 죽고 큰 놈은 눈을 못 보게 된다.

동산[園] 가운데 조그마한 집을 짓고 그 아래에 삼태기[簣] 하나를 달아 놓아서 닭이 그 위에 올라가 자도록 하고, 혹은 담장 안에 감실[龕]을 짓고 또 풀로 둥지를 묶어서 닭으로 하여금 알[卵]을 품게 한다. 그 동산 곁에는 수수[蜀黍]를 한 이랑[畝]쯤 심어서 그늘을 만들어주고 가을이 되면 그 수수를 수확하여 또 닭을 먹이면 닭이 쉽게 크고 살찐다. 혹은 하나의 큰 동산을 설치하고 동산 사방 둘레에 빙 둘러 담장을 쌓은 다음 다시 한 중앙을 가로질러 담장 하나를 쌓아서 두 곳으로 나누고, 그 두 동산 담장 밑의 동ㆍ서ㆍ남ㆍ북 사방에 각각 네 개의 닭집을 설치하여 닭이 휴식할 곳으로 만든다. 그리고 매양 10일마다 죽(粥)을 쑤어 동산의 왼편에 뿌려서 풀로 덮어 놓아서 이틀 만에 그 죽이 모두 벌레로 변하면 닭이 쪼아먹도록 하고, 동산의 오른편에도 이와 같이 하여, 왼편의 것을 다 쪼아 먹었으면 즉시 닭을 오른편으로 몰곤 한다. 이와 같이 한다면 닭이 저절로 살찌고 알도 끊임없이 잘 낳을 것이다.

닭을 살찌우는 방법은, 기름을 밀가루에 섞어서 짓이겨 손가락끝 크기만한 덩이로 만들어서 날마다 닭에게 10여 개씩 먹이고, 혹은 그것을 단단한 밥으로 만들고 이를 토유황(土硫黃)과 섞어서 곱게 갈아서 매양 반전(錢)쯤을 밥에 골고루 섞어서 먹이면 수일 만에 곧 살찐다. 어미닭은 봄ㆍ가을에 걸쳐 1년에 병아리를 두 번 깔 수 있다. 어미닭이 알을 낳을 때는 날마다 그놈을 끼고서 참깨를 먹이면 항상 알만 낳고 알을 품지는 않는다. 닭에서 얻은 알은 물론 가용(家用)으로 쓰거니와, 또는 다른 물건과 바꾸어 쓸 수도 있으니, 생활을 영위하는 방법에도 한 가지 도움이 된다.

무릇 닭의 잡병(雜病)에는 참기름을 먹이면 당장에 나으며, 오공(蜈蚣 지네)의 독(毒)을 맞았을 때는 수유(茱萸)를 갈아서 먹인다. 만일 온역(瘟疫)을 만났을 경우, 한 마리가 병이 옮으면 나머지 닭도 다 전염되어 죽게 되니, 즉시 쪽[藍]을 닭 주둥이에 넣어서 거꾸로 달아매거나, 혹은 각(閣) 위에 옮겨 놓으면 질병을 면할 수도 있다.

 

● 양어(養魚)

《양어경(養魚經)》에 이르기를,

“생활을 영위하는 방법이 다섯 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수축(水畜)이 제일이다.”

하였으니, 수축이란 곧 물고기를 말한 것이다. 여섯 이랑[畝]을 못[池]으로 만들고 못 가운데 구연(九淵)을 만든 다음, 새끼 밴 잉어 석 자[尺] 된 놈 20마리와 숫잉어[牡鯉] 석 자 된 놈 4마리를 구해다가 2월 상경일(上庚日 맨 첫 경일(庚日))에 못 가운데 넣되, 물소리가 나지 않도록 하여야 고기가 반드시 산다. 4월에 이르러서는 신수(神守) 1마리를 잡아 넣고, 6월에는 신수 2마리를 잡아 넣고, 8월에는 신수 3마리를 잡아 넣는데, 신수는 곧 자라를 가리킨 것이다. 대개 고기가 3백 60마리가 차면 교룡(蛟龍)이 그 중에 어른이 되어 고기를 데리고 날아가 버리게 되는데, 이 자라를 넣어 두면 고기가 다시 날아가지 못하고, 못 가운데 빙 둘러 있는 구주(九洲)를 스스로 강호(江湖)로 여기고 살게 된다.

이리하여 이듬해 2월에 이르러서는 길이가 1자[尺] 된 놈이 1만 마리와 3자 된 놈 4만 마리와 2자 된 놈 1만 마리를 얻게 되고, 그 다음에 이르러서는 길이가 1자 된 놈 10만 마리와 2자 된 놈 5만 마리와 4자 된 놈 4만 마리를 얻게 되는데, 2자 된 놈 2천 마리는 그대로 남겨두어서 종자로 삼고 나머지는 모두 판다. 또 명년에 이르게 되면 고기의 숫자는 이루 헤아릴 수 없게 된다. 잉어를 기르는 것은 쉽게 변화(變化)하고 쉽게 자라고 서로 잡아먹지 않으므로 또한 귀하게 여긴다.

무릇 고기를 기르는 곳은, 모름지기 진흙이 비옥(肥沃)하고 빈조(蘋藻 네가래와 개구리밥)가 번성한 데를 골라서 하는 것이 제일 좋다. 그러나 반드시 그곳에 집을 짓고 사람이 살게 하여 지키도록 하되, 다방(多方)으로 방법을 설치하여 수달피[獺]로부터의 해(害)를 방지해야 한다. 무릇 사는 곳과 가까이 있는 호수(湖水)에다 이 방법에 의하여 고기를 기른다면 부를 빨리 이룩할 수 있으니, 이렇게만 하면 효험은 틀림없다. 지금 사람들은 강(江)에 나가 고기 새끼를 잡아다가 못 안에 놓아 기르면서 청초(靑草)를 먹이는데, 한 해에 한 자쯤 크면 이를 식용(食用)에 대비하니 또한 편법(便法)이 될 만하다.

그리고 양(羊)의 우리[圈]를 못 언덕 위에 짓고 양을 기르면서 매양 아침 일찍이 양의 똥을 못 가운데 쓸어 넣어 초어(草魚)를 먹이고, 또 이 초어가 눈 똥은 연어(連魚)를 먹일 수 있으니, 이와 같이 한다면 구태여 사람이 손수 풀을 베줄 필요가 없고 다만 고기가 약간 목이 막히는 경우가 있을 뿐이다. 설사 만일 고기가 독(毒)을 맞아 하얀 배[腸]를 위로 쳐들고 있을 경우는 급히 독물을 소통시키고 별도로 새 물[新水]을 끌어다가 못에 넣은 다음, 파초(芭蕉) 잎을 찧어서 새 물이 내려오는 곳에 넣어 고기가 그 물을 마시도록 하면 곧 독이 풀리며, 혹은 오줌을 못에 대어 주어도 독이 풀린다.

오자(五牸 다섯 종류의 암가축)를 기르는 법에 의하면, 첫째는 양어(養魚)이고, 둘째는 양양(養羊)이고, 셋째는 양저(養猪)이고, 넷째는 양계(養鷄)이고, 다섯째는 양아압(養鵝鴨)인데, 오자(五牸) 가운데 오직 수축(水畜)의 이문[利]이 가장 크다. 모름지기 산을 등지고, 호수를 바라보고, 산이 모여들고, 물이 굽어드는 곳을 가려 주택(住宅)을 건립하고 먼저 전지(田地)와 산장(山場)을 마련한 다음, 모든 복종(僕從)을 시켜 즉시 곡식을 심어 가꾸고, 채소를 심고, 뽕나무를 심어 가꾸어 누에를 치고 실을 켜서 의식(衣食)의 근원을 만들게 한다. 그런 연후에는 큰 못을 파서 물을 가득 담고 그 못 안에는 구주(九洲)와 팔곡(八谷)을 두어 마치 강호(江湖)와 같이 만들고는, 거기에 새우[蝦]며 자라[鱉]며 소라[螺] 등을 잡아 넣어 신수(神守)로 삼아서 고기로 하여금 서로 즐기며 스스로 강호의 가운데 있다고 생각하면서 주야로 쉬지 않고 유희(游戲)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도표(圖表)를 후면에 붙여서 이것을 생업(生業)으로 삼는 자에게 법받도록 하였다.

못 10이랑[畝]에 한 중심을 약 1백 보(步)쯤 뚫고 사면(四面)도 모두 이와 같이 한다. 그 안에는 9개의 돈대[墩]를 만든 다음 8개의 돈대에는 팔괘(八卦)의 방위(方位)로 삼아서 부패(符牌 부적을 쓴 패)를 세우고 한 중앙의 돈대에는 팔각루정(八角樓亭)을 만들고서 어느 날을 가려서 패를 세우되, 이날이 어느 별[宿]에 해당하든지 간에 즉시 이 별이름을 부적[符]에 쓴 다음 패(牌)를 세운다. 구궁(九宮)의 부패(符牌)는 모두 석각(石刻)하여 주서(朱書)하고 위에는 용왕(龍王)을 소상(塑像)으로 만들어 놓고서 봄철에 제(祭)를 지내며 달마다 또 제를 지낸다. 이와 같이 법(法)에 의해 수조(修造)한다면 반드시 응험이 있을 것이다.

만일 활수(活水)가 있을 경우, 못의 흙이 마르면 이 활수를 더 넣어 주고 못이 가득 차면 이 활수를 제거한다. 못을 방축(防築)하는 데는 모름지기 좋은 연월일시(年月日時)를 가려서 기공(起工)하여 방축을 완전히 끝내고 나서 물을 가득 채운 다음에 어종(魚種)을 방하(放下)할 때에도 생문(生門 오행(五行)의 용어로 팔문(八門) 가운데 길(吉)하다는 문의 하나)에 의해서 방하하는데, 이를테면 경자(庚子)ㆍ임자(壬子)는 곧 곤방(坤方)이라는 것과 같다. 하종결(下種訣)에 이르기를,

“경자(庚子)ㆍ임자(壬子)는 곧 곤방(坤方)이요, 임술(壬戌)ㆍ경자(庚子)는 오방(午方)이요, 갑인(甲寅)ㆍ병진(丙辰)은 손방(巽方)이요, 계묘(癸卯)ㆍ신미(辛未)는 간방(艮方)이요, 을유(乙酉)ㆍ신축(辛丑)은 감방(坎方)이요, 기미(己未)ㆍ정해(丁亥)는 태방(兌方)이니, 다만 생문에 의해서 어종(魚種)을 방하하되, 방법대로 배치하면 고기가 죽는 일이 없을 것이다.”

하였다.

 

[《필자미상 고사인물도 화집》中, 견본채색, 39.7 x 29.1cm, 국립중앙박물관]

 

 

번역본 출처 : 한국고전번역원(1984, 김주희 정태현 이동희 임정기 이재수 정기태 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