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선조들

정도전 20 - 불씨잡변 불법입중국

從心所欲 2022. 2. 25. 07:58

불법이 중국에 들어 옴[佛法入中國]

 

【안(按)】 여기서부터 “부처 섬기기를 극진히 할수록 연대는 단촉(短促)되었다[事佛甚謹年代尤促].”까지는 진씨(眞氏 : 진덕수(眞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의 설을 인용한 것이다.

한(漢)나라 명제(明帝)는, 인도[西域]에 신(神)이 있어 그 이름이 불(佛)이라는 말을 듣고 사신(使臣)을 천축(天竺)에 보내어 그 글과 중[沙門]을 얻어 들여왔는데 그 글은 대개 허무(虛無)를 으뜸으로 삼고, 자비(慈悲)와 살생(殺生)하지 않는 것을 귀히 여겨 말하기를,

“사람은 죽어도 정신은 멸하지 않아 다시 형체(形體)를 받아 태어나는데, 살아 있을 때에 선(善)한 일을 하고 악(惡)한 일을 한 바에 따라, 다 보응(報應)이 있다.”

하였다.

그러므로 수련(修鍊)하여 부처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굉원 광활[宏濶]하고 수승 방대[勝大]한 말을 잘하여 어리석은 백성을 유혹하였는데, 그 도(道)에 정통(精通)한 사람을 사문(沙門)이라고 불렀다.

이때부터 중국에 그 법이 전하여져 그 형상(形像)을 그림으로 그렸다. 그런데 왕공(王公) 귀인(貴人)으로는 유독 초왕(楚王) 영(英)이 가장 먼저 좋아하였다.

 

진서산(眞西山 : 진덕수(眞德秀)의 호)이 말하기를,

“신(臣)이 상고하건대, 이것은 불법(佛法)이 중국에 들어온 시초입니다. 이때에 얻어온 것은 불경(佛經) 42장인데 난대(蘭臺) 석실(石室)에 감추어 두었을 뿐이었고, 얻어온 불상(佛像)은 청량대(淸凉臺)와 현절릉(顯節陵)에 그림으로 그렸을 뿐이었습니다.

초왕 영(英)이 비록 불교를 좋아하였으나 재계[齋]를 정결하게 하여 제사를 지내는 데 불과할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영은 이내 죄에 걸려 목 잘려 죽었고, 복리의 보답을 받았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습니다.

그 후에 한(漢)의 영제(靈帝)가 처음으로 궁중(宮中)에 사당(祠堂)을 세웠고, 위진(魏晉) 이후로 그 법이 점점 성하여, 오호(五胡)의 임금으로서, 이를테면, 석늑(石勒)이 불도징(佛圖澄)에게, 부견(符堅)이 도안(道安)에게, 요흥(姚興)이 구마라습(鳩摩羅什)에게 이따금 스승의 예(禮)로써 받들었으며, 원위(元魏)의 효문제(孝文帝)는 현명한 임금이라고 칭하지만, 역시 절에 나아가 재(齋)를 올리고 설법을 들었으니, 이때부터 소량(蕭梁)에 이르기까지는 그 성(盛)함이 극도에 달하였습니다. 그러나 근원은 영평(永平) 연간으로부터 시작되었으니, 명제(明帝)를 책(責)하지 않고 누구를 책하겠습니까?”

하였다.

▶석늑(石勒)이 불도징(佛圖澄)에게 : 불도징(佛圖澄)은 천축(天竺)의 고승(高僧)이었다. 불도징이 석늑의 정벌 길에서 조언한 말들이 매사에 적중하자 석늑이 깊이 공경하고 중히 여기어 대화상(大和尙)이라고 칭했다. 
▶부견(符堅)이 도안(道安)에게 : 도안(道安)은 진(晉)나라 승려로 영강(寧康) 초에 석늑의 난을 피하여 양양(襄陽)에 이르러 단계사(檀溪寺)를 세움. 태원(太元 : 삼국시대 오나라의 손권이 사용한 연호) 연간에 부견(苻堅)이 양양을 취하여 도안을 얻고 기뻐하며 말하기를, “내가 10만의 군사로 양양을 취해 한 사람 반을 얻었다. 안공(安公 : 도안)이 한 사람이고 습착치(習鑿齒 : 진(晉)의 양양사람)가 그 반이다.” 하였다.
▶요흥(姚興)이 구마라습(鳩摩羅什)에게 : 구마라습(鳩摩羅什)은 천축인(天竺人) 고승(高僧). 후진(後秦) 때 처음으로 관중(關中)에 들어갔는데 요흥(姚興)이 국사(國師)의 예로 대우하였다 한다.
▶소량(蕭梁) : 중국 남조(南朝)의 양(梁)나라.
▶영평(永平) :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연호.

 

[보현사 십육나한탱화(普賢寺十六羅漢幀畵) 2, 견본채색, 월정사 성보박물관]

 

 

번역본 출처 : 한국고전번역원(1977, 조준하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