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 25년인 1494년, 조선에서 사는 항거왜인은 80%가 제포에 살고 있었고, 부산포가 15 %, 염포가 5% 정도의 분포였다고 한다. 조선정부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왜인 거류자들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여 1503년에는 2천여 명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조선 정부는 성종 때에 거론되었던 세금 징수문제조차 대왜교린(對倭交隣) 차원에서 계속 집행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왜인들은 조선의 관용책을 악용하여 빈번하게 범법행위를 저질렀고 연산군 대를 거치면서 그 도가 절정에 달하였다. 왜구의 출몰은 백성들이 주로 피해를 입지만, 그 불똥은 관리들에게도 튀었었다. 실록에는 왜구의 출몰로 인하여 조선의 관리들이 국문을 당하고, 귀양 가고, 목숨까지 잃는 기사들이 수도 없이, 정말 수도 없이 나온다. 왜구의 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