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의 힘 34

정도전 21 - 불씨잡변 사불득화

불씨를 섬겨 화를 얻음[事佛得禍] 양무제(梁武帝)는 중대통(中大通) 원년(元年) 9월에 동태사(同泰寺)에 나아가 사부(四部) 대중을 모아 무차대회(無遮大會)를 열고 어복(御服)을 벗고 법의(法衣)를 걸친 후 청정대사(淸淨大捨)를 행하니 모든 신하들이 돈 1억만(一億萬)을 가지고 삼보(三寶)앞에 빌고 황제의 몸을 굽혀 속죄하는데, 중들은 그대로 절을 받으면서 말 한마디 없었고, 임금은 궁궐로 돌아왔다. 무제(武帝)가 천감(天監) 연간으로부터 석씨(釋氏)의 법을 써서 오래도록 재계하여 고기를 먹지 않고 하루에 한 끼니만 먹는 것도 나물국에 거친 밥뿐이요, 탑을 많이 쌓아 공사(公私)간에 비용을 많이 소비하였다. ▶중대통(中大通) : 중국 남북조 시대의 양(梁)나라 초대황제인 양무제의 연호로 원년은 529년...

우리 선조들 2022.03.02

강산무진도 속의 사람 사는 모습 3

이태백의 은 계속 이어진다. 劍閣崢嶸而崔嵬 검각(劍閣)은 삐죽삐죽 높기도 하여 一夫當關 한 명이 관문(關門)을 지키면 萬夫莫開 만 명도 못 당하고 所守或匪親 수문장이 친하지 않다면 化爲狼與豺 승냥이와 다를 바 없다. 朝避猛虎 아침엔 호랑이 피하고 夕避長蛇 저녁엔 구렁이 피하니 磨牙吮血 이로 으깨고 피를 빨아 殺人如麻 사람 잡아 낭자하다. 錦城雖云樂 금관성(錦官城)이 좋다고 해도 不如早還家 일찌감치 집으로 가느니만 못하리라. 蜀道之難 촉도의 험난함이여 難於上靑天 하늘 오르기보다 어려워라. 側身西望長咨嗟 몸 기우려 서쪽 향해 긴 한숨만 쉬노라. 검각(劍閣)은 잔도(殘徒)의 다른 이름이고 금관성(錦官城)은 사천성의 성도(成都)를 가리키는 다른 이름이다. 명성이 자자한 금관성은 그 험한 산길 너머에 존재했다. ..

우리 옛 그림 2022.03.01

목민심서 115 - 수령이 감영에 가서 연명하는 것은 아첨하는 일이다.

●봉공(奉公) 제3조 예제(禮際) 3 연명(延命)의 예를 감영(監營)에 나아가서 행하는 것은 옛 예가 아니다. (延命之赴營行禮 非古也) ▶봉공(奉公) : 『목민심서(牧民心書)』 제3편인 봉공(奉公)은 충성으로 임금을 섬기고 공경으로 윗사람을 섬기는 등, 공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6조로 나누어 논하였다. 봉공(奉公)의 제3조인 예제(禮際)는 ‘예의 있게 교제하는 것’을 말한다. ▶연명(延命) : 원래 감사나 수령이 부임할 때 전패(殿牌) 앞에서 왕명을 받드는 의식인데, 새로 부임한 감사에게 관하의 수령들이 처음 가서 뵙는 것을 뜻하기도 했다. 여기서는 후자를 가리키는바 그것은 고례가 아니라고 보았다. 연명이란 지방을 맡은 신하가 자기 임지에 있을 때, 선화(宣化)의 임무를 띤 신하가 순행하여 본읍..

목민심서 2022.02.28

강산무진도 속의 사람 사는 모습 1

조선 후기의 화가 이인문(李寅文)이 그린 는 그림의 크기로 볼 때 전하는 조선 그림 가운데는 심사정이 남긴 와 함께 가장 큰 대작으로 꼽힌다. 두루마리 형태의 이 그림은 세로 높이가 43.9cm에 길이는 856cm나 된다. 는 길이가 818cm로 약간 짧은 반면 세로 높이는 85cm로 보다 전체 그림의 면적은 훨씬 크다. ‘강산무진(江山無盡)’은 끝없이 이어지는 대자연의 모습을 가리킨다. 중국과 조선에서 즐겨 다루어지던 전통적 화제(畵題)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에서는 이인문의 를 이렇게 소개하고 있다. 를 오른쪽부터 천천히 그림을 살펴보면, 만고불변의 자연과 그 자연의 섭리 속에서 순응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들이 다채롭게 표현되어 있다. 강과 산만 무한하게 펼쳐져 있는..

우리 옛 그림 2022.02.26

목민심서 114 - 왕명을 받은 관인을 대하는 예의.

●봉공(奉公) 제3조 예제(禮際) 2 외관(外官)이 사신(使臣)과 서로 보는 데는 그 예의가 국가의 법전에 갖추어져 있다. (外官之與使臣相見 具有禮儀 見於邦典) ▶봉공(奉公) : 『목민심서(牧民心書)』 제3편인 봉공(奉公)은 충성으로 임금을 섬기고 공경으로 윗사람을 섬기는 등, 공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6조로 나누어 논하였다. 봉공(奉公)의 제3조인 예제(禮際)는 ‘예의 있게 교제하는 것’을 말한다. ▶외관(外官) : 지방행정을 담당하는 관원. 목사(牧使)와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는 정3품으로 당상관과 당하관이 있으며, 도호부사(都護府使)는 종3품, 군수는 종4품, 현령은 종5품, 현감은 종6품이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예전(禮典) 경외관상견조(京外官相見條)에는 이렇게 규정되어 있다. “외..

목민심서 2022.02.24

왕의 평생학습 - 경연

왕(王)은 군주국가의 상징적 존재이자 실질적 권력자이다. 그래서 흔히 왕이라고 하면 무소불위의 존재를 연상한다. 그러나 조선의 왕 자리가 그리 녹녹치 않았음은 여러 기록을 통해 쉽게 확인이 된다. 정치적 어려움 뿐 아니라 일상의 어려움도 있었다. 그 중의 하나가 공부이다. 왕들은 그 만인지상의 자리에서도 여전히 공부를 해야만 했다. 그것도 혼자 알아서 하는 공부가 아니라 신하들 앞에서 학습하고 또 검증까지 받아야 했다. 이것이 경연(經筵)이다. 경연(經筵)은 ‘경전(經典)을 공부하는 자리’란 뜻이다. 경연은 이른 아침에 하는 조강(朝講)부터 낮에 하는 주강(晝講), 밤에 하는 석강(夕講), 그리고 밤중에 신하를 불러 하는 야대(夜對) 등 여러 가지 이름이 있었다. 3 ~ 4살부터 공부를 시작하여 세자가 ..

우리 옛 뿌리 2022.02.23

정도전 19 - 불씨잡변 유석동이지변

유가와 불가의 같고 다름의 변[儒釋同異之辨] 선유(先儒)가 이르기를, “유가(儒家)와 석씨(釋氏)의 도(道)는 문자의 구절(句節) 구절은 같으나 일[事]의 내용은 다르다.” 하였다. 이제 또 이로써 널리 미루어 보면, 우리(유가(儒家))가 허(虛)라고 하고, 저들(불가(佛家))도 허라 하고, 우리가 적(寂)이라 하고 저들도 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우리의 허(虛)는 허하되 있는 것이요, 저들의 허는 허하여 없는 것이며, 우리의 적(寂)은 적하되 느끼는 것이요, 저들의 적은 적하여 그만 끝나는 것이다. 우리는 지(知)와 행(行)을 말하고, 저들은 오(悟)와 수(修)를 말한다. 우리의 지는 만물의 이치가 내 마음에 갖추어 있음을 아는 것이요, 저들의 오(悟)는 이 마음이 본래 텅 비어 아무것도 없음을 깨닫는 ..

우리 선조들 2022.02.21

지록위마의 세상

“진정한 친구는, 친구가 빨간색을 보고 까만색이라 해도 같이 까맣다고 해주는 거다.” 돈 꽤나 있다고 거드럭대던 친구가 수십 년 전 술자리에서 했던 말이다. 평생 들은 말 중에 가장 어이없었던 말 중의 하나다. 그 말을 듣는 순간 나는 양아치라는 단어가 떠올랐다. 양아치 노릇을 하고 살면서도 생각과 말이 의외로 반듯한 양아치들도 많이 봤다. 하지만 그 친구는 뼛속까지 양아치였다. 나는 양아치의 진정한 친구가 될 마음이 없었기 때문에 이후 우리는 서로 친구가 아니었다. 진나라의 환관 조고는 사슴을 가리키며 말이라고 했다. 지금도 자신에게 유리한 해석만이 상식과 공정이라고 떠드는 인간이 있다. 친구간의 의리라는 개념을 왜곡하고 사슴을 보고 말이라 칭하며 진실을 가리는 행위와 하나도 다르지 않다. “우리가 남..

백가쟁명 2022.02.20

심사정 - 옛 법을 따르다.

창작력을 중시하는 지금의 예술관과는 달리 옛 동양회화에서는 남의 그림을 모방하는 것은 전혀 흠이 되지 않았다. 오히려 대가의 좋은 그림을 모사(模寫)하면서 그 정신과 기법을 체득하는 것이 그림 제작의 중요한 요체로 장려되었다. 그래서 지금 전하는 옛 그림들에는 누구누구의 그림이나 필법을 ‘방(倣)’했다는 화제가 적힌 그림들이 많다. ‘방(倣)’은 특정한 화가의 화풍이나 사의(寫意)를 따랐다는 의미다. 조선 후기에는 주로 원(元)나라 말기의 산수화가 예찬(倪瓚)과 명나라의 문인화가였던 심주(沈周), 그리고 명나라 말기의 화가이자 서예가였던 동기창(董其昌)을 방(倣)한 예가 많다. 이들은 모두 남종문인화 계열의 화가들이었다. 전하는 심사정의 작품 중에 《방고산수첩(倣古山水帖)》이 있다. 어느 특정화가가 아닌..

우리 옛 그림 2022.02.18

정도전 18 - 불씨잡변 불씨선교지변

불씨의 선과 교의 변[佛氏禪敎之辨] 불씨의 설이 그 최초에는 인연(因緣)과 과보(果報)를 논(論)하여 어리석은 백성을 속이고 꾀는 데 불과한지라, 비록 허무를 종(宗)으로 삼아 인사(人事)를 저버렸지만, 그래도 선을 행하면 복을 얻고 악을 행하면 화를 얻는다는 설은 있어, 사람들로 하여금 악을 징계하고 선을 권장하며, 몸가짐을 계율(戒律)에 맞춤으로써 방사(放肆)해지는 데까지는 이르지 않게 하였었다. 그러므로 인륜은 비록 저버렸으면서도 의리를 모두 상실하지는 않았다. ▶방사(放肆) :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구는 것. 그런데 달마(達摩)가 중국에 들어와서는 그의 설이 얕고 비루(卑陋)하여 고명(高明)한 선비들을 현혹시킬 수 없음을 스스로 깨닫고서 이에 말하기를, “문자에도 의존하지 않고 언어의 길도 끊어졌..

우리 선조들 2022.02.17